-
“40대에 차장 달기도 어려운데”...‘총수 일가’는 초고속 승진
평균 30대 초·중반에 임원 승진, 이후 10년 안에 사장 취임. 국내 100대 그룹 사장단(사장·부회장·회장)으로 재직 중인 총수 일가 경영인들은 일반적으로 이같은 회사 내 행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6일 기업분석연구소 리더스인덱스가 국내 자산 순위 100대 그룹에서 현재 재직하고 있는 총수 일가 827명 중 사장단에 포함된 199명의 이력을 살펴본 결과 이들의 평균 입사 연령은 28.9세였다. 이들의 승진은 빨랐다. 평균적으로 5.4년 후인 34.3세에 임원으로 승진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이어 7.8년 후인 42.1세에는 사장이 됐다. 특히 199명 중 40명은 입사와 동시에 임원을 달았고, 그중 21명은 경력 입사, 나머지 19명은 경력 없이 처음부터 임원으로 입사한 것으로 조사됐다. 총수 일가의 임원 승진 속도는 점차 빨라지고 있는 것도 특징이다. 보통 창업 2세대의 경우 입사부터 초임 임원이 되기까지 걸리는 기간은 평균 4.7년으로, 34.7세에 임원에 올랐다. 3~4세는 이보다 0.6년 짧은 평균 4.1년이 걸려 2세보다 약 2년 빠른 32.8세에 임원으로 승진했다. 100대 그룹 사장단 중 최연소는 올해 초 사장으로 승진한 김동원 한화생명 최고글로벌책임자(CGO)였다. 1985년생인 김 사장은 김승연 회장의 차남으로 3세 경영인이다. 1980년대생 부회장은 총 5명이었다. 김동관 한화그룹 부회장은 1983년생, 정기선 HD현대 부회장과 홍정국 BGF 부회장이 각각 1982년생, 양홍석 대신증권 부회장이 1981년생이었다. 김정우 기자 enyou@hankyung.com
2023.12.06 12:09:43
-
“열심히 일해서 꼭 임원 승진해야지”...현실에서 실현 가능성은?
100대 기업이 다니는 일반 직원이 임원을 달 확률은 0.8% 수준에 불과한 것으로 조사됐다. 27일 기업분석전문 한국CXO연구소에 따르면 올해 상장사 매출액 100대 기업 직원이 임원으로 승진할 수 있는 확률은 0.83%였다. 작년 이 수치는 0.82%를 기록한 바 있다. 임원 승진 확률은 전체 직원 중 임원(등기임원 제외)이 차지하는 비중을 산술적으로 계산한 수치다. 올해 반기보고서 기준 100대 기업 전체 직원 수는 작년 동기 대비 1.6% 늘어난 84만6824명으로 집계됐다. 미등기임원은 작년 6894명에서 올해 7069명으로 2.5% 증가했다. 산술적으로 전체 직원 중 임원 비중은 올해 119.8대 1 수준으로 조사됐다. 이는 직원 120명 중에서 1명 정도만 겨우 임원 자리에 오를 수 있다는 얘기다. 업종별로 보면 증권업에 포함된 회사들은 올해 직원 37.7명당 1명꼴로 임원 자리에 앉는 것으로 조사됐다. 다른 업종에 비해 비교적 임원이 될 기회가 큰 셈이다. 무역(55.4명), 석유화학(70.3명), 보험(72.8명), 건설(88.5명), 금속철강(88.8명), 정보통신(99.0명) 업종도 임원 승진 경쟁률이 100대 1보다 낮았다. 반면 유통 분야는 임원 달기가 가장 어려웠다. 직원 259.7명당 1명 정도만 임원을 다는 것으로 조사됐다. 유통업의 특성상 매장 직원이 다수를 차지하다 보니 일반 직원으로 입사해 임원까지 오를 수 있는 가능성은 다른 업종에 비해 낮았다는 분석이다. 항공해운(180.6명), 조선중공업(172.3명), 자동차(142.6명), 전기·전자(138.7명) 업종의 임원 승진 경쟁률 역시 100대 1을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김정우 기자 enyou@hankyung.com
2023.11.27 08:31:22
-
세대교체 들어간 100대 기업···70년대생 임원 절반 넘었다
올해 100대 기업 임원 수가 200명 가까이 증가한 가운데 70년대생 임원들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중 등기임원과 미등기임원을 포함한 임원 출생연도를 보면 1970년대생 임원(3,878명)이 전체 50%를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글로벌 헤드헌팅 전문기업 유니코써치가 지난해 상장사 매출액 기준 100대 기업의 올해 반기보고서를 토대로 조사한 결과, 사내이사(등기임원)와 미등기임원은 총 7345명으로 집계됐다. 이는 지난해 파악된 100대 기업 임원 수(7175명)보다 170명(2.4%) 늘어난 숫자다. 100대 기업 임원 중 최고경영자(CEO)급에 해당하는 등기임원은 277명이며, 5년 단위 세대별로는 1960년대 초반 출생(1960∼1964년생)이 117명(42.2%)으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했다. 단일 출생연도로는 1964년생(59세)이 35명으로 최다를 기록했기 때문이다. 이어 1965년생(27명), 1963년생(26명), 1961년생(25명), 1962년생(20명) 순이다. 1964년생에는 장재훈 현대자동차 사장, 정일택 금호타이어 사장, 윤춘성 LX인터내셔널 사장, 홍원학 삼성화재 사장 등 CEO가 포진했다. 1970년대와 1980년대 출생한 사내이사는 모두 42명으로, 이들 가운데 김동관 한화 부회장(1983년)이 전체 100대 기업 CEO급 가운데 최연소를 기록했다. 등기임원과 미등기임원을 모두 포함한 100대 기업 전체 임원 중 가장 임원이 많은 출생연도는 1970년생(759명, 10.3%)이었다. 이어 1971년생(753명), 1969년생(734명), 1968년생(667명), 1972년생(603명), 1967년생(535명), 1973년생(480명), 1974년생(387명) 등이다. 작년 대비 올해 기준으로 임원이 가장 많이 뽑힌 출생연도는 1973년생(116명)이었고, 1971년생(78명), 1976년생(77명), 1974년생(75명), 1975년생(70명)도 70명 이상 임원 자리에 올랐다. 1970년대 초반
2023.11.13 08:36:53
-
잡코리아 조사, MZ직장인 54.8% “임원 승진 생각 없다”
MZ세대 직장인 절반 이상은 회사생활을 하며 임원 승진에 생각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이유는 ‘책임져야 하는 위치에 대한 부담감’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 업무량과 재직기간에 대한 인식을 조사한 결과에서도 남들만큼 일하고, 남들만큼 다니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답변이 많아 눈길을 끌었다.취업 플랫폼 ‘잡코리아’가 3월 15일부터 31일까지 MZ세대 직장인 1114명을 대상으로 ‘회사생활 목표’ 관련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그 결과를 12일 발표했다. 우선 ‘회사생활을 하며 임원까지 승진하고 싶은가’라는 질문에 45.2%가 ‘그렇다’라고 답했으며, 절반 이상인 54.8%는 ‘임원까지 승진할 생각이 없다’라고 응답했다.이들을 대상으로 임원 승진을 희망하지 않는 이유를 물은 결과 △책임을 져야 하는 위치가 부담스러워서가 43.6%로 1위에 올랐다. 다음으로 △임원 승진이 현실적으로 어려울 것 같아서(20.0%), △임원은 워라밸이 불가능할 것 같아서(13.3%) △임원을 하고 싶은 마음이 없어서(11.1%) △회사생활을 오래 하고 싶지 않아서(9.8%) 등의 순이었다.그렇다면 MZ직장인들의 승진에 관한 생각은 어떨까? 조사 결과 △남들과 비슷하게 승진하면 된다는 의견이 50.8%로 절반 이상을 차지했다. 다음으로 △빨리 승진하고 싶다(27.3%) △승진에 크게 관심이 없다(19.5%) △승진하고 싶지 않다(3.3%) 순으로 조사됐다.한편 업무량 및 직장생활 기간에 대한 인식을 조사한 결과 ‘남들만큼’ 하는 정도로 충분하다는 답변이 많았다. 잡코리아가 어느 정도 일하고 싶은지 묻자 과반수인 55.5%가 △남들만큼 일하는 것으로 충분하다고 답했다. △남들보다 많이 일하며 인정받고 싶다는 답변은 32.5%를, △남들보다
2023.05.12 10:00:37
-
[인터뷰-상] “날 진심으로 대했다”…‘고졸 임원’이 말한 영원무역 문화
1981년부터 1993년까지 한국 고등학생들의 대학 진학률은 30%대에 머물렀다. 4년제 대학 진학률은 20%대였다. 80%는 고등학교와 전문대를 졸업하고 취업 전선에 뛰어들었다. 1980년대부터 1990년대 초반 고등학교와 전문대를 졸업한 후 취업해 기업의 임원이 되는 것은 상상하기 힘든 일이었다. 그것도 여성이라면 더욱더 가능성은 희박하다. 영원무역은 이 희박한 가능성을 현실로 만든 기업이다. 노스페이스와 룰루레몬 등 글로벌 스포츠 웨어 주문자 상표 부착 생산(OEM) ‘1위 기업’으로도 유명한 이 회사와 관계사에는 현재 12명의 고졸·전문대졸 임원이 있다. 비율은 22.64%다. 이 중 10명은 여성이다. 참고로 300대 기업(2021년 12월 매출 기준) 가운데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임원 학력을 공시한 기업 202곳의 평균 고졸·전문대졸 임원 비율은 1.63%에 불과하다. 이흥남 영원무역 수출영업관리본부 부사장, 박미라 영원아웃도어 영업·물류팀 전무, 강성은 영원무역 수출영업관리본부 상무, 오혜준 영원무역홀딩스 인적자원팀 이사 등이 희박한 가능성을 현실로 만든 주인공이다. 이들은 한국 사회에 뿌리 깊었던 남성 중심의 문화에서 오직 ‘실력’과 ‘직업 정신’으로 살아남아 임원이 됐다. 영원무역은 능력·성과·발전 가능성 등을 보며 이들을 품었다. 성래은 영원무역홀딩스 사장은 어려서 공장에 가면 이들을 언니라고 불렀다. 친밀감은 눈에 보이지 않는 큰 자산이다. 성 사장은 4인의 여성 임원에 대해 “그분들은 직업에 대한 소명 의식을 갖고 불철주야로 열심히 일해 눈에 띄는 성과를 성취했다”며 “자연스럽게 회사에서 인
2022.11.05 06:00:05
-
일 잘하던 부장이 임원 달고 실력 발휘 못하는 이유 [김용우의 경영 전략]
[경영 전략]연말이면 임원 승진 뉴스가 쏟아지고 축하 인사를 하느라 바쁘다. 한 기업의 성장을 책임지는 역할을 받게 된 만큼 축하를 받아 마땅하다. 그런데 글로벌 컨설팅 업체인 가트너와 맥킨지 등의 조사에 따르면 사내 승진한 49%의 임원이 18개월까지 성과가 저조하고 신임 임원의 27~46%가 2년 후 실패하거나 실망스러운 성과를 보인다고 한다. 부장일 때는 일을 잘해 임원을 달아 줬더니 정작 실력 발휘를 못한다는 얘기다.수십 년간 대양을 누빈 선원에서 이제 막 선장이 됐다고 생각해 보자. 예상하지 못한 거센 비바람이 몰아친다. 이럴 때 어떤 일을 해야 할까. 숱한 어려움을 극복한 선원의 경험을 십분 발휘해 배와 선원을 챙기는데 집중한다면 낭패를 당할 수 있다.경영학의 창시자로 불리는 피터 드러커는 “최고경영자(CEO)는 내부와 외부를 연결하는 고리”라고 말했다. 여기에서 내부는 회사 또는 조직이며 외부는 사회·경제·기술·시장·고객 등을 뜻한다. 다만 피터 드러커는 “그런데 CEO를 필요할 때 혜성같이 나타나 내부의 문제를 해결하는 감독이라고 잘못 생각하는 사람들이 많다”고 지적했다.외부 세계는 내부 회사가 존재하는 이유다. 내부에만 집중한다면 외부 세계의 변화에 적절하게 대응할 수 없다. 초불확실성, 빠른 변화, 거센 비바람이 일상인 시대에는 CEO와 함께하는 경영자로서의 임원도 마찬가지다. ‘ABCD’ 역할을 점검해 보자따라서 CEO를 비롯한 임원은 세상과 회사를 연결하고 이를 바탕으로 조직을 통해 지속적으로 성과를 만들어 내는 역할을 해야 한다. 그렇다면 구체적으로 어떤 역할을 해야 할까.새롭게 임원이 됐거나 오래전
2022.01.06 17:30: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