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거기가 힙하잖아요” 백화점의 달라진 성장 전략

    “성수동? 한남동? 안 가도 돼요. 요즘 뭐가 유행하는지 알고 싶을 땐 더현대 서울 지하로 가요. 재밌는 것도, 맛있는 것도 다 있으니까요.”백화점이 고루한 이미지를 벗어던지고 ‘힙한 곳’으로 변화하고 있다. 이들 회사가 본격적으로 젊은층의 트렌드를 좇는 전략을 강화한 것은 2021년이다. 더 정확히 말하면 2021년 2월, 더현대 서울의 오픈이 기점이었다. 주요 명품 없이도 개점 1년 만에 매출 8000억원을 돌파한 더현대 서울은 직장인만 가득하던 여의도로 MZ세대(밀레니얼+Z세대)를 불러냈다는 평가를 받았다. 이후 백화점은 집객에 중점을 둔 일회성 매장 운영 등을 확대하며 MZ세대를 확보하는 데 사활을 걸고 있다. ‘팝업의 성지’가 된 백화점몇 해 전까지만 해도 ‘팝업스토어’는 백화점들이 간간이 하는 이벤트성 공간이었다. 팝업스토어는 기간을 정해 두고 운영되는 일회성 매장으로, 그동안 고객들의 동선 등을 고려하지 않고 유휴 공간을 활용하는 경우가 많았다. 하지만 최근 MZ세대 고객의 집객 효과가 입증되면서 유동 고객이 많은 핵심 장소에 팝업을 배치하는 등 백화점의 핵심 아이템으로 자리 잡고 있다. 이런 변화를 보여주는 대표적 사례는 현대백화점의 더현대 서울이다. 더현대 서울은 오픈 후 2년간(2021년 2월 26일~2023년 2월 26일) 321여 회의 팝업스토어를 운영했다. 평균 이틀에 한 번꼴로 행사장을 운영했다는 의미다. 올해는 애니메이션 ‘슬램덩크’, 유튜버 다나카, 트로트 가수 영탁, 레고 BTS 다이너마이트, 웹툰 ‘데못죽(데뷔 못하면 죽는 병 걸림)’ 등의 팝업 행사를 열었다.특히 더현대 서울의 팝업스토어는 가장 좋은 위치를 차지했다. ‘슬램덩크’, ‘데못죽’ 등 마니아

    2023.07.26 06:00:01

    “거기가 힙하잖아요” 백화점의 달라진 성장 전략
  • MZ세대 몰리는 더현대 서울 비결이 궁금하다면?…벤치마킹 투어 프로그램 [MZ공간 트렌드]

    매주 수요일 오전 11시. 여의도 더현대 서울에서는 특이한 행렬을 볼 수 있다. 해외 관광지에서 보던 것처럼 가이드를 필두로 여러 사람이 무리 지어 돌아다니는 풍경이 펼쳐진다. ‘더현대 서울 벤치마킹 투어 프로그램’에 참여한 이들이다.‘더현대 서울 벤치마킹 투어 프로그램’은 더현대 서울을 통해 마케팅 인사이트를 얻고자 하는 학생·소상공인·스타트업 종사자 등을 대상으로 진행된다. 카카오톡 더현대 서울 친구 추가를 통해 예약할 수 있는데 이미 9월 말까지의 예약이 마감됐을 정도로 높은 인기를 얻고 있다. 이 투어 프로그램은 한 팀당 2명씩 5팀이 참여할 수 있어 총 10명이 진행할 수 있다. 1층 컨시어지 데스크에 집결해 더현대 서울 소속 직원이 소개하는 더현대 서울의 운영 노하우 등 설명을 들으며 지하 1층과 지하 2층, 6층을 40분가량 돌아보는 코스다. 더현대 서울에 ‘없는 것’더현대 서울은 코로나19 사태가 한창이던 2021년 2월 오픈했다. 유통업계 불모지로 불리는 여의도라는 지역과 팬데믹(감염병의 세계적 유행) 시기였기 때문에 성공 가능성을 예상하는 사람은 많지 않았다. 백화점 매출과 직결되는 3대 명품 브랜드 일명 ‘에루샤(에르메스·루이비통·샤넬)’가 없다는 점 역시 약점으로 꼽혔다. 하지만 더현대 서울에 따르면 올해 1월부터 5월까지 매출이 전년 대비 20% 가까이 늘었다. 이대로라면 올해 연매출 1조원 달성도 가능하다. 더현대 서울이라는 명칭에는 ‘백화점’과 ‘여의도’가 빠져 있다. 기존 백화점의 이미지를 탈피하고 MZ세대(밀레니얼+Z세대)를 겨냥한 트렌디한 공간으로 거듭나겠다는 의지와 여의도를 넘어 서울의 랜드마크가 되겠다는 목표를 담아 네이밍

    2023.07.11 09:03:15

    MZ세대 몰리는 더현대 서울 비결이 궁금하다면?…벤치마킹 투어 프로그램 [MZ공간 트렌드]
  • 6월에 즐기는 공연, 전시 힐링나들이

    브로드웨이의 전설이 온다뮤지컬 오리지널팀올해 브로드웨이 25주년을 맞는 뮤지컬 오리지널팀이 6년 만에 내한공연을 갖는다. 뮤지컬 는 1920년대 보드빌 무대를 그대로 옮긴 스타일리시한 무대 위에서 시선을 사로잡는 관능적인 배우들이 풍자와 위트로 가득찬 스토리를 펼친다. 특히, 무대 위에서 라이브 연주를 선사하는 14인조 빅밴드 또한 공연의 매력 중 하나다. 이 작품은 미국 브로드웨이에서 25년간 1만 회 이상 공연됐으며, 브로드웨이 역사상 가장 롱런하고 있는 미국 뮤지컬로 기록되고 있다. 그뿐만 아니라 전 세계 최고 권위 시상식에서 55개 부문을 수상, 작품성까지 인정받았다. 이 밖에도 미국을 넘어 영국, 캐나다, 호주, 독일, 일본 등 전 세계 36개국 500개 이상 도시에서 3만2500회 이상 공연됐으며, 3300만 명이 넘는 관객이 관람한 스테디셀러 뮤지컬인 만큼 이번 내한공연에도 기대가 모아지고 있다. 내한공연에서는 브로드웨이에서 벨마 켈리와 록시 하트를 연기해 온 배우 로건 플로이드와 케이티 프리든이 출연한다. 기간 2023년 5월 27일~ 8월 6일 장소 블루스퀘어 신한카드홀 명작과 명배우가 만났을 때연극 연극 은 평범한 미국 중산층인 윌리가 직업을 잃고 혼란을 겪으며 무너져 가는 모습과 그것을 지켜보는 가족의 심리를 세밀하게 다루며 자본주의의 잔인함을 고발하고 사회에 대한 통렬한 비판으로 개인의 인간성 회복을 호소하고 있다. 작품이 세상에 나온 지 반세기가 지났지만, 그 안에 담긴 메시지의 보편성은 현시대를 살아가는 우리 사회에서 여전히 유효하다. 이번 시즌에서 주인공 ‘윌리 로만’ 역은 대배우 박근형이 맡았다. 윌리의 곁을 지키는 ‘린다 로먼’ 역에는 관록의

    2023.05.27 06:00:06

    6월에 즐기는 공연, 전시 힐링나들이
  • '샤넬·루이비통·에르메스' 없는 더현대 서울…파격 통할까

    [위클리 이슈] 기업 삼성전자, 글로벌 TV 시장 판도 바꿨다…15년째 세계 1위 삼성전자가 세계 TV 시장에서 15년 연속으로 1위 자리를 수성했다. 시장 조사 업체 옴디아가 2월 23일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2020년 세계 TV 시장에서 삼성전자는 31.9%의 점유율을 기록했다. 이는 역대 최고 연간 점유율이다. 삼성전자가 15년 연속 글로벌 TV 1위를 유지할 수 있었던 원동력은 매년 TV 시장의 흐름을 바꾸는 제품을 지...

    2021.03.01 08:06:01

    '샤넬·루이비통·에르메스' 없는 더현대 서울…파격 통할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