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7일 서울시에 따르면 전기이륜차 보급 확산에 박차를 가한다. 2025년 상반기 지원 규모를 2배 이상 대폭 확대해 배달업 종사자와 소상공인의 전기이륜차구매 부담을 완화한다는 계획이다.
서울시는 전기이륜차 보급이 더딘 주요 원인을 내연차량 대비 가격 부담, 충전 불편, 전환혜택 부족 등으로 파악했다.
특히 배달 라이더의 66.2%를 차지하는 20~30대 청년·사회초년생에게 전기이륜차초기 구매비용 부담이 큰 진입장벽으로 작용하고 있었다.
또한 배터리교환 스테이션(BSS) 등 충전 인프라 부족, 제조사별 배터리 호환 불가 문제가 주요 장애로 인식되고 있었다.
서울시는 차량 가격 부담과 충전 불편을 해소하고자 보조금지원확대, KS표준 교환형 충전시설 확충, 민관 협력을 통한 지원확대 등 3가지 방안을 마련하고 지원에 나선다.
추가 보조금 등 지원이 2배 늘어나면 신형 배터리 교환형 전기이륜차와 중고 내연이륜차 가격이 유사해져 배달업 종사자들이 전기이륜차로 전환할 것으로 기대된다는 설명이다.
배달업 종사자들이 전기이륜차 전환을 망설이는 가장 큰 이유는 충전인프라 부족과 충전 시간 문제다.
이를 해소하기 위해 배터리를 빠르게 교환할 수 있는 배터리 교환형 충전시설(BSS) 확충이 필요하다. 배터리 교환형 충전시설은 3시간 이상 소요되던 기존 충전 시간을 배터리 교체를 통해 1분 이내로 단축할 수 있어 배달업 종사자의 운행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서울시는 배달업이 활발한 대학가(안암동, 신림동 등)와 주요 상권밀집지역 20개 행정동에 우선으로 충전 인프라를 구축해 배달 종사자의 충전 불편을 최소화할 계획이다.
정유진 기자 jinjin@hankyung.com
© 매거진한경,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