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연합뉴스
사진=연합뉴스
애플과 일론 머스크가 충돌하고 있다. 애플이 위성 기반 통신 서비스를 확대하면서 주파수 대역 확장에 시동을 걸었기 때문이다. 스페이스X는 애플의 주파수 사용에 제동을 걸어달라고 당국에 요청했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30일(현지시간) “애플의 위성 확장 전략이 머스크의 분노를 샀다”고 보도했다.

애플과 스페이스X의 충돌은 예견된 갈등이다. 애플과 스페이스X 모두 위성 통신을 활용한 통신 사각지대 제거에 나서고 있기 때문이다.

애플은 2022년부터 글로벌스타와 협력해 아이폰의 위성 기반 긴급 SOS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셀룰러 범위 밖의 지역에서도 비상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는 기능이다. 애플은 이 서비스를 위해 글로벌스타에 10억 달러 이상을 투자했으며, 지난해에는 15억 달러 규모의 자금 조달 계약을 발표했다.
스페이스X 역시 글로벌 인터넷망을 구축하려 하고 있다. 스타링크 위성을 통해 기존 이동통신사의 도움 없이도 하나의 인터넷망을 사용할 수 있는 인프라를 개발 중이다.

갈등의 핵심은 주파수 대역이다.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따르면, 스페이스X는 미국 연방통신위원회(FCC)에 애플의 파트너인 글로벌스타의 주파수 사용 승인 절차를 연기하거나 중단해달라고 직접 요청한 것으로 알려졌다. 스타링크가 사용하는 주파수 대역 일부와 겹친다는 이유다. 이에 대한 WSJ의 논평 요청에 스페이스X는 답하지 않았다.

WSJ은 스페이스X의 협력사인 티모바일이 애플에 스타링크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애플 측과 논의하는 과정에서 갈등이 시작됐다고 전했다. 올여름 출시될 스페이스X와 티모바일의 위성 휴대전화 서비스를 신형 아이폰 사용자가 이용할 수 있도록 합의에 도달하긴 했지만, 그 과정에서 날카로운 논의가 벌어졌다는 것이다.
애플과 머스크는 과거에도 충돌한 바 있다. 자율주행 인재 영입 경쟁, 앱스토어 정책을 둘러싼 논쟁, 머스크의 스마트폰 제작 언급 등을 두고 갈등을 겪었다.

고송희 인턴기자 kosh1125@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