빅스토리/
뉴실버의 RESTART

‘뉴실버’라는 키워드가 금융 및 산업계에서 거대한 트렌드로 떠오르고 있다. 고령화 시대를 맞아 뉴실버 관련 투자와 소비시장이 황금알을 낳는 거위가 되고 있기 때문이다.
뉴실버 세대는 베이비부머 1세대(미국 기준 제2차 세계대전 이후 1946년부터 1965년 사이에 출생한 세대) 이후에 태어난 베이비부머 2세대를 일컫으며, 통상 50대 중후반에서 60대 초중반을 지칭한다.
2023년 8월 한국비즈니스학회가 발표한 ‘액티브 시니어를 위한 패션 및 생활문화 플랫폼 연구’(이현영 창원대 교수) 논문에 따르면 뉴실버 세대는 보유 자산이 풍족해 외모를 가꾸거나 건강을 관리하는 것에 대한 소비를 아끼지 않는 경제력과 소비 성향을 갖고 있다.
과거 노년기를 인생의 황혼기로 불렀지만 요즘 뉴실버 세대에게는 그런 개념이 통하지 않는다. 오히려 여유로운 자금과 시간을 가지고 화려한 인생 2막을 열기 위해 다시 출발선에 선다는 생각을 갖고 있다. 하지만 누구에게나 행복한 인생 2막이 열리지는 않는다. 은퇴 이전부터 철저히 대비해야 뉴실버로서의 자격을 갖출 수 있다.
글 정유진 기자
[big story]뉴실버의 은퇴와 투자는 달랐다
뉴실버, 아날로그·디지털 모두 섭렵...적극성 눈길
뉴실버 세대에게 나이는 숫자에 불과하다. 스스로의 삶을 적극적으로 가꿔 나가기 때문에 이들을 다채로운 빛을 내는 보석에 비유해 오팔 세대라고도 한다. 이는 1958년생 개띠만을 일컫는 의미가 아니다.
오팔(OPAL) 세대란 ‘Old People with Active Lives’의 약자다. ‘활기찬 인생을 살아가는 노년층’을 의미하며 일본에서 처음 사용됐다. 일본의 고도성장기를 거친 세대들이 은퇴 후 여유로운 경제력과 시간으로 새로운 소비층을 형성하고 기업에서도 이들을 주목하면서 일본 경제 전문가 니시무라 아키라가 이 단어를 제시했다.
대한민국 각 분야 전문가 8인이 펴낸 <머니 트렌드 2024>에 따르면 우리나라 은퇴자는 1700만 명에 달한다. 이는 2023년 11월 말 행정안전부 발표 기준 대한민국 전체 인구 5133만여 명 중 20세 이상 성인 인구인 4332만여 명의 약 40%를 차지한다. 이 중 뉴실버 세대의 핵심을 이루는 55세에서 64세까지 인구수는 약 840만 명으로 전체 은퇴자의 절반 규모로 집계됐다.
뉴실버 세대는 △미래지향적, 다양적, 적극적 성향 △두터운 독립적인 부유층이 두터움 △노년을 새로운 인생 시작 및 기회로 인식 △본인이 젊다고 생각 △합리적인 소비생활 △전 연령층 세대와 다양하게 교류 △여가 자체에 가치를 두는 레저관 △부부여행, 자유여행 중심의 여행 방식 △다양한 금융자산 보유 △재테크에 높은 관심 △스스로 노후를 준비 △자녀에게 기대지 않는 독립적인 생활 △노후를 위한 대비책으로 자산 축적 △부부 중심으로 생활 △동호회나 모임을 통해 넓은 대인관계 형성 △디지털과 익숙 등의 특징을 나타낸다.
[big story]뉴실버의 은퇴와 투자는 달랐다
전 세계 부와 힘의 중심이 '뉴실버'로 이동 중
글로벌 트렌드 및 국제 비즈니스 전략 분야의 세계적인 전문가인 마우로 기옌 펜실베이니아대 국제경영학 와튼스쿨 교수는 “10년 내에 부와 힘의 중심이 밀레니얼 세대에서 뉴실버 세대로 이동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60세 이상 세대는 전 세계 자산의 50%(미국 기준으로는 80%)를 소유하고 있고 2030년에는 그 수가 35억 명에 달할 것이라는 전망이다.
이러한 세계적인 트렌드에서 하나금융연구소는 ‘뉴시니어가 원하는 금융’ 보고서를 통해 뉴실버 세대는 금융 자산이 1억 원 이상으로서 50세에서 64세 사이 상위 30%에 해당하는 액티브한 고객군이라고 정의했다. 뉴실버 세대는 금융 거래를 할 때 전체의 80% 이상이 모바일 채널을 이용하고 쇼핑, 영상 시청 등 경제활동이나 일상생활에서 디지털 사용이 매우 익숙하다.

뉴실버 신규 거래 이유는 수익률 아닌 편리성
하나금융연구소 조사에 따르면 뉴실버 세대는 은퇴 후에도 경제활동을 하고 있는 경우가 많고 수십년간 거래해 온 채널 이용의 편리성 등으로 은행을 주거래 금융기관으로 삼고 있다. 은행에서 주는 우대 혜택보다는 급여이체 때문이거나 편리성을 더 중시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하지만 뉴실버 세대는 은행 거래에만 기대던 기존 실버 세대와는 달리 과반 이상이 최근 1년 내 토스, 토스뱅크, 카카오페이 등 핀테크 및 빅테크 기관과 신규 거래하는 등 기존 거래에 고착되기 보다는 새로운 금융 트렌드에 적극적으로 반응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뉴실버의 신규 거래 이유로는 1순위가 금융 수익률이 아닌 ‘모바일 채널의 이용 편리성’이 꼽혔다. 젊은 세대와 마찬가지로 편의성 역시 중요시하는 뉴실버만의 특징으로 금융기관에서 뉴실버를 공략할 때 차별화된 경쟁력으로 삼을 수 있다는 분석이다.
[big story]뉴실버의 은퇴와 투자는 달랐다
행복한 노후를 위한 적정 생활비는 얼마일까
누구나 풍족한 뉴실버를 꿈꾸지만 실제로 행복한 노후를 보내기는 빡빡한 것으로 나타났다. KB골든라이프가 2023년 전국 주요 도시에 거주하는 20~79세 남녀 30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 조사에 따르면 전체 가구가 예상하는 노후 적정 생활비는 월 369만 원으로 2018년보다 106만 원 증가했다.
하지만 전체 가구가 예상한 적정 생활비 중 조달 가능할 것으로 생각하는 금액은 적정 생활비의 약 57.6%인 월 212만 원에 불과했다. 노후 조달 가능한 생활비를 준비할 때 활용하는 방법은 국민연금이 86.8%를 차지해 압도적으로 많았다. 이어 개인연금(58.7%), 이자와 금융 상품 원금 등 금융소득(55.9%), 퇴직연금(54.1), 사학·군인·공무원연금(49.1%) 등으로 나타났다.

선진국 뉴실버는 노후 대비에 주택연금 적극 활용
해외 선진국의 경우 뉴실버 세대가 노후 적정 생활비 마련을 위해 주택연금을 적극 활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우리나라 주택연금 역시 미국 역모기지(HECM) 제도를 벤치마크해 도입된 바 있다.
하나금융연구소가 2023년 9월 발표한 ‘욜로(YOLO) 은퇴 전략, 주택연금’ 보고서에 따르면 미국의 HECM은 거주주택을 매각하거나 사망하기 이전까지는 원리금 상환이 요구되지 않고, 매각시점에서 주택 가격이 대출액보다 낮은 경우 정부의 지급보증이 이뤄진다는 점은 국내 주택연금과 유사하다.
하지만 고령층의 노후 복지 측면에서 도입된 국내 주택연금과 다르게 미국의 HECM은 주택 구입 및 대출 상환 등 금융 상품적 성격이 강하며 이용률도 높은 편이다.
영국은 1972년을 기점으로 생명보험사가 주택 지분을 유동화하는 상품을 시초로 역모기지 시장이 형성됐다. 공적 보증이 없어 대출금이 주택 매매 가격을 초과하지 않는 조항이 적용됐으며, 홈 리버즌(Home Reversion: 별도의 집세를 내지 않고 평생 거주 권리를 보장받는 상품)과 라이프 모기지(Life Mortgage: 최대 대출금액 내에서 대출 방법과 인출이 자유로운 상품)이 운영 중이다.
우리나라보다 고령화를 20년 이상 일찍 겪은 일본은 1981년부터 40여 개 금융기관에서 차별화된 민간 역모기지 상품을 공급 중이다. 일본 주택금융공사의 공적보증과 민간 금융 회사의 상품이 결합된 구조로 운영되기도 하며 수도권 거주 제한, 안정적인 수입 요건 등의 가입 요건이 필요하다. 고령층이 많은 일본의 주택연금 수요는 안정적인 노후 생활을 유지하기 위해 더욱 확대될 전망이다.
[big story]뉴실버의 은퇴와 투자는 달랐다
국내 은퇴 세대의 주택연금 활용도는
우리나라에서도 베이비부머의 은퇴가 본격화하면서 노후자금 확보에 대한 관심도가 급증하고 있다. 특히 주거 안정과 생활비 마련을 동시에 해결할 수 있는 주택연금이 대안으로 부상하고 있다.
주택연금의 필요성 증대로 정부는 주택연금 가입 확대를 위해 가입 대상 연령, 주택 가격, 주택 유형 등의 조건을 완화 중이며 가입자의 니즈에 맞춰 가입 상품 옵션도 다양화하고 있다.
하지만 “자녀가 주택연금 가입을 꺼려할 것이다” 등의 부정적인 인식이 여전해 이를 극복하는 것이 선결 과제다.
전문가들은 고령층의 금융자산 및 연금소득이 절대적으로 부족한 상황에서 주택연금을 실질적인 사적연금 및 노후 보장 체제의 수단으로 여기는 분위기와 인식 개선이 필요하고 주택연금 가입자 뿐 아니라 자녀에 대한 인식 개선 방안도 동시에 마련할 필요하다고 조언한다.
특히 금융권에서는 주택연금 가입률을 낮추는 요인을 제거하는 것이 시급하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 국내 주택연금의 경우 노인복지 측면으로 설계된 상품이다 보니 주택 가격 변동을 반영하지 못하거나 가입 시기에 따른 월지급금 변동, 거주·이전의 제한 등의 한계점들이 존재하기 때문이다.
하나금융연구소 측은 “주택연금의 한계점을 보완하고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가입자의 경제력, 자금의 용도 등에 따라 상품을 세분화해 제공할 수 있는 차별적 정책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정유진 기자 jinji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