워런 버핏 벅셔해서웨이 회장이 그간 비밀에 부쳤던 주요 투자처가 공개됐다. 세계 최대 손해보험사 처브다. 처브는 버핏 회장이 지난해 3분기부터 매수해 지난 3월 말 기준 벅셔의 보유 종목 9위로 부상했다.

[커버스토리]
워런 버핏 벅셔 해서워이 회장. 사진=연합AP
워런 버핏 벅셔 해서워이 회장. 사진=연합AP
지난 5월 15일 벅셔해서웨이가 미국 증권거래위원회 (SEC)에 제출한 13F(Form 13) 보고서 공시에 따르면 벅셔해서웨이는 세계 최대 손해보험사인 처브의 지분 6.08%(2600만 주가량)을 약 67억 달러에 매입했다. 3월 말 기준 벅셔해서웨이 보유 종목 9위(비중 2.03%)에 해당하는 규모다. 처브 지분을 사들이기 시작한 시기는 지난해 3분기부터지만, 워런 버핏 벅셔해서웨이 회장은 SEC의 승인을 받아 해당 사실을 약 6개월간 공개하지 않았다.

처브는 스위스 취리히에 본사를 둔 세계 최대 손해보험사다. 세계 보험 업계의 거물 모리스 행크 그린버그 전 AIG 회장의 아들 에반 그린버그가 이끌고 있다. 지난 3월 선박 충돌 사고로 무너진 볼티모어 프랜시스 스콧 키 브리지의 보험사로도 알려져 있다. 올 들어 현재까지 주가 상승률은 12%가량이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 지수 수익률(11%)을 소폭 웃돌고 있다.
애플 판 버핏, 보험업에 베팅
벅셔해서웨이는 영국 보험사 에이온 지분(1.86%)을 비롯해 비상장사인 가이코(자동차보험사)와 내셔널 인뎀니티(재보험사) 등 여러 보험업 자회사를 소유하고 있다. 버핏 회장은 2022년 애플, 철도 회사 BNSF, 에너지사업부와 함께 벅셔해서웨이의 4대 거인으로 표현할 만큼 보험업에 대한 애정을 드러낸 바 있다. 최근 연례 주주서한에서도 “재산 보험, 사고 보험은 벅셔해서웨이의 안녕과 성장의 핵심을 제공한다”고 강조했다.

캐시 세이퍼트 CFRA리서치 애널리스트는 “처브는 벅셔해서웨이가 강점을 가진 사업 분야인 보험업을 영위하고 있기 때문에 버핏 회장에게 매력적인 주식 투자처일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처브가 상업 특수 보험과 고급 재화 보험을 주력 상품으로 판매하는 것 역시 벅셔해서웨이의 보험업 포트폴리오의 일면을 구성하기에 적합하다”고 평가했다. 버핏 회장은 5월 초 열린 벅셔해서웨이 연례 주주총회에서도 비밀 매수 종목(처브)에 대한 언급을 피했었다.

대신 그는 당시 주총에서 애플 지분을 대거 매각했다는 사실을 발표했다. 애플 주식은 1억1556만 주를 팔아 7억9000만 주로 줄였다. 이날 공개된 보고서에 따르면 벅셔해서웨이 포트폴리오에서 애플이 차지하는 비중은 50.1%에서 40.8%로 축소됐다. 일각에서는 버핏 회장이 애플의 성장성을 우려하고 있다는 분석이 제기됐으나, 그는 애플에 대해 변함없는 신뢰를 보냈다.

벅셔해서웨이는 1분기에 HP 잔여 주식 2300만 주가량을 전부 팔아치웠다. 에너지 종목에서는 셰브런 지분 2.47%를 매각하고, 대신 옥시덴털 페트롤리움 지분 1.77%를 추가 매입했다. 1분기 벅셔해서웨이가 보유한 상위 5개 투자 기업들은 지분 가치 기준 애플 1354억 달러, 뱅크오브아메리카(BoA) 392억 달러, 아메리칸익스프레스 345억 달러, 코카콜라 245억 달러, 셰브런 194억 달러 순이다.

벅셔해서웨이의 올해 1분기 실적은 주요 투자 부문인 보험업의 이익 증가와 고금리 기조에 의해 선방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버핏 회장은 신규 투자처를 발굴하는 대신 주로 미국 단기 국채에 투자했다. 고금리 기조의 특수를 누리기 위해서다. 또한 애플, 파라마운트 등 투자 기업의 주식을 대거 매각한 벅셔해서웨이의 현금성 자산은 사상 최대치인 1890억 달러로 늘었다. 벅셔해서웨이는 “올해 첫 3개월 동안 200억 달러어치의 주식을 팔았고, 같은 기간 매입한 주식 가치는 약 27억 달러”라고 밝혔다. 그 결과 주식 포트폴리오의 가치는 지난해 말 기준 3540억 달러에서 3360억 달러로 줄었다. 버핏 회장은 “(현재 1890억 달러 정도에 달하는) 현금성 자산은 이번 분기 말에는 약 2000억 달러까지 늘어날 수 있다”고 말했다.

김리안 한국경제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