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더 빨리·더 오래가는 '꿈의 배터리'…상용화 승자는

    [비즈니스 포커스]일본 도요타자동차가 세계 최초로 전고체 배터리를 탑재한 전기차 시제품을 선보인 데 이어 LG에너지솔루션이 상온에서 충전할 수 있는 전고체 배터리 기술 개발에 성공하면서 차세대 전고체 배터리 개발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다.전고체 배터리는 양극과 음극 간 이온을 전달하는 전해질을 액체 대신 고체로 만든 배터리를 말한다. 전고체 배터리는 1회 10분 충전에 800~900km 주행이 가능하다.특히 에너지 밀도가 높고 충전 시간이 짧으며 외부 충격, 배터리 팽창에 의한 화재·폭발 위험이 상대적으로 낮아 기존 리튬이온 배터리를 밀어낼 ‘게임 체인저’로 주목받고 있다.리튬이온 배터리는 현존하는 2차전지 중 성능이 가장 우수하다는 데는 이견이 없다. 다만 리튬이온 배터리는 구조적으로 발화·폭발 위험성을 내재하고 있다. 양극활 물질에 산소가 들어 있고 액체 전해질이 고온에서 연료로 작용해 불이 붙는다.이 때문에 갑작스러운 충격이나 압력 변화에 배터리 내부 구조가 변형되면 온도가 상승해 폭발할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온도가 낮은 환경에서 사용하면 방전되거나 사용 기간이 길어질수록 성능이 떨어지는 등 한계를 보이고 있다. 전고체 배터리가 리튬이온 배터리의 대안으로 떠오른 이유다.차세대 배터리는 현재 리튬이온 배터리보다 에너지 밀도와 안전성이 높고 빠른 충전과 장수명이 가능해야 하며 가격은 저렴해야 한다. 이에 따라 전고체 배터리도 본격 상용화에 앞서 기술적 완성도를 높이기 위한 노력은 더 필요하다.  도요타·폭스바겐·포드…기술 확보에 사활전고체 배터리는 고체 특성에 따라 액체 전해질에 비해 낮은 전도

    2021.10.13 06:00:01

    더 빨리·더 오래가는 '꿈의 배터리'…상용화 승자는
  • 썩지 않는 애물단지가 미래 먹거리로…‘폐플라스틱’에 꽂힌 화학업계

    [비즈니스 포커스] 플라스틱은 아직 재활용하는 비용보다 만드는 비용이 훨씬 저렴해 전 세계적으로 재활용률이 단 9%에 불과하다. 나머지 91% 중 79%는 매립, 12%는 소각돼 환경 오염을 일으키는 주범으로 지목돼 왔다.폐플라스틱 발생량이 폐기물 처리 용량을 뛰어넘으며 환경 오염이 심각해졌고 2050년 넷제로를 위한 탄소 예산의 14%에 해당하는 560억 톤의 온실가스가 플라스틱 때문에 발생할 것으로 예측된다. 이대로 간다면 플라스틱 산업은 좌초 자산이 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주요국들의 환경 규제도 강화되는 추세다. 유럽연합(EU)과 중국 등 주요국을 중심으로 플라스틱 제조 기업과 사용 기업에 대해 사용 이후 폐기 단계는 물론 제품의 설계·생산·유통 단계로 책임 범위가 확대되고 있다.한층 강화된 환경 규제와 함께 환경·사회·지배구조(ESG)가 투자 판단의 새로운 기준이 되면서 화학업계는 폐플라스틱 관련 사업에 속도를 내고 있다. 화학 기업들이 폐플라스틱 재활용을 확대하고 썩는 플라스틱 개발에 적극 나서면서 애물단지 취급을 받던 폐플라스틱이 탄소 중립 시대의 ‘황금알’로 변신하고 있다.  탄소 중립 시대, 신시장으로 부상전 세계적인 환경 규제와 ESG 열풍으로 폐플라스틱 수요가 증가하면서 최근 가격도 급등세다. 환경부 자원순환정보시스템에 따르면 9월 압축 페트(PET) 가격은 kg당 329원으로 1년 전(209원)보다 57.4% 올랐다.폴리에틸렌(PE)과 폴리프로필렌(PP) 등을 세척해 잘게 부순 형태의 플레이크 가격도 오름세다. PP 플레이크는 지난해 9월 kg당 248원에서 353원으로 42.3% 올랐고 PE 플레이크는 지난해 9월 274원에서 383원으로 39.8% 뛰었다.아큐먼

    2021.10.07 06:03:02

    썩지 않는 애물단지가 미래 먹거리로…‘폐플라스틱’에 꽂힌 화학업계
  • 10만원대 태블릿, 1만원대 무선 이어폰…중국산 저가 기기가 밀려온다

    [비즈니스 포커스]“원 플러스 원에 3만원대예요. 개당 1만1000원대. 역대급입니다.”지난 9월 초 삼성전자의 신상 무선 이어폰인 ‘갤럭시 버즈2’가 출시됐을 때 한쪽에서는 1만원대 저가 무선 이어폰이 대란을 일으켰다. 주인공은 중국의 음향 기기 브랜드인 QCY가 선보인 무선 이어폰 ‘T13’이다.이 제품은 1만원 후반대의 제품으로 판매 중이나, 최근 1만원 초반대 특가에 풀리자 주문 폭주로 배송이 마비되면서 품절 대란을 일으켰다. 소비자들은 “가격 대비 추천한다”, “소액으로 큰 만족도를 느낄 수 있다”며 구매 행렬에 동참했다. 이른바 ‘가성비’를 따지는 소비자들이 몰려들면서 제품은 순식간에 품절됐다.그간 가격만 저렴할 뿐 성능이 뒤떨어져 ‘깡통 제품’으로 불리기 일쑤였던 중국산 정보기술(IT) 기기들이 한국 소비자들의 마음을 사로잡고 있다. 세계 시장 조사 업체인 카운터포인트리서치에 따르면 무선 이어폰 시장에서 애플의 점유율은 23%로 1위다. 하지만 지난해 같은 기간 35%에서 12%포인트 하락한 수치다. 2위는 샤오미다. 7%에서 10%로 3%포인트 올랐다. 삼성전자는 3위로, 현재 7%다. 전년 동기 대비 1%포인트 상승했다. 이어 JBL·제이랩·QCY 등이 한 자릿수에서 경합하고 있지만 샤오미가 선전한 ‘가성비’ 방식으로 QCY가 점유율을 늘려 갈지 주목된다.저가 제품의 공습, 점유율 확대8월에는 10만원대 태블릿이 단연 화제였다. 중국 IT 업체인 레노버의 ‘P11’이란 제품이 해외 직구를 통해 10만원 초반대에 풀리면서 가성비족들을 열광하게 한 것이다. 한국에서도 출시된 이 제품은 메모리와 저장 공간에 차이가 있지만

    2021.10.07 06:00:49

    10만원대 태블릿, 1만원대 무선 이어폰…중국산 저가 기기가 밀려온다
  • 배터리 생산부터 재활용까지…LG·SK ‘바스’에서 무한 경쟁

    [비즈니스 포커스]전기차 시장이 커지면서 서비스형 배터리 ‘바스(BaaS : Battery as a Service)’ 사업이 주목받고 있다. 바스는 전기차 배터리 생산과 판매뿐만 아니라 수리·대여·재사용·재활용 등 배터리 생애 주기 전반을 포함한 사업 모델을 말한다.글로벌 완성차 업체들의 전기차 배터리 내재화 움직임 등 배터리 산업을 주도권을 선점하기 위한 경쟁이 심화하고 있는 만큼 한국 배터리 업체들도 배터리 생산·판매에만 그치기보다 배터리를 활용한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플랫폼으로 사업 포트폴리오를 확장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바스 사업은 배터리를 활용해 높은 부가 가치를 창출하고 친환경성을 극대화할 수 있어 미래 전기차 생태계 조성의 핵심으로 손꼽힌다. 향후 전기차 대중화 시대가 열리면 바스 시장이 더욱 커질 것으로 전망된다.  완성차·렌터카 등 합종연횡 가속LG에너지솔루션과 SK이노베이션은 바스 사업을 본격화하며 배터리 구독 서비스 경쟁에 뛰어들었다. LG에너지솔루션은 전기차 렌터카 업체, 중고차 거래 플랫폼 등과 바스 사업 관련 협력을 강화하고 있다.최근 렌터카 1위 업체인 롯데렌탈과 전기차 배터리 신규 서비스 사업 발굴을 위한 업무협약을 맺었다. LG에너지솔루션은 제조·활용·재사용까지 전기차 배터리 전 주기 관리·상시 진단, 인증·평가 등 바스 사업 역량 강화에 주력한다.이번 협약에 따라 LG에너지솔루션과 롯데렌탈은 전기차 상시 진단과 평가 인증 서비스 등 다양한 전기차 특화 서비스 개발을 추진한다. LG에너지솔루션은 배터리 용량과 안전 상태 등의 데이터를 토대로 배터리 평가 인증서를 발급

    2021.10.06 06:02:01

    배터리 생산부터 재활용까지…LG·SK ‘바스’에서 무한 경쟁
  • 패션 기업들은 왜 화장품을 팔까

    [비즈니스 포커스] 패션 기업들이 뷰티 시장으로 전쟁터를 옮겼다. 화장품이 패션 기업의 신규 수익원으로 낙점된 것은 몇 가지 이유가 있다. 먼저 패션 사업에서 파악한 고객의 니즈를 화장품 시장에도 적용할 수 있다. 또 이들은 자체 유통망을 통해 해외 뷰티 시장 진출의 발판을 미리 확보해 둬 유리하다. ‘명품 화장품’으로 맞붙을 한섬과 신세계SI이른바 ‘한섬 마니아’들을 보유한 패션 전문 기업 한섬이 1987년 창사 이후 최초로 화장품 시장에 진출한 것은 화장품업계를 넘어 유통가의 큰 이슈였다.한섬의 럭셔리 화장픔 브랜드 ‘오에라’는 8월 27일 현대백화점 압구정본점 1층에 오프라인 1호 매장을 열었다. 오에라는 기능성 피부 관리 제조 기술이 우수한 스위스화장품연구소와 협업해 개발한 독자 성분(크로노 엘릭서)을 원료로 사용했다. 크로노 엘릭서는 단백질 원료 플랫폼 기술을 보유한 ‘프로젠’과 단백질 생산 기술을 연구·개발(R&D)하는 ‘제넥신’이 공동 개발한 기술을 적용했다. 스킨케어 라인은 스위스의 맑은 물과 최고급 원료로 만들여졌고 전량 스위스에서 생산된다는 게 오에라 측의 설명이다. 오에라의 특징은 ‘고가’라는 점이다. 주요 상품 가격은 20만~50만원대, 대표 상품인 다중 기능성 세럼 ‘켈리브레이터’의 가격은 37만5000원대다. ‘초고가 상품’은 시그니처 프레스티지 크림 50mL로 가격은 120만원대다. 호기심으로는 쉽게 구입할 수 없는 가격대다. 오에라의 ‘고가 전략’이 어떻게 작용할지가 향후 성공 여부를 결정할 것으로 보인다. 오에라는 한섬 공식 온라인몰 더한섬닷컴의

    2021.10.06 06:00:36

    패션 기업들은 왜 화장품을 팔까
  • 브레이크 걸린 카카오…10년 만에 성장 방식 유턴?

    [비즈니스 포커스] 한국인들의 삶에 카카오가 침투하지 않은 영역은 이제 찾아보기 힘들다. 모바일 메신저로 연락을 주고받고 택시를 호출하고 미용실을 예약하며 모바일로 선물을 주고받는 데도 카카오가 쓰인다.이처럼 플랫폼을 기반으로 공격적으로 사업을 확장하던 카카오의 행보에 제동이 걸렸다. 발단은 택시 요금 인상 시도였다. 카카오T를 운영하는 카카오모빌리티가 8월 초 배차 성공률을 높이는 ‘스마트 호출’의 최대 요금 폭을 5000원으로 인상한 것이다. 사실상 요금 인상과 다를 바 없다는 반발이 거세게 일었다.공정거래위원회는 카카오 김범수 의장의 회사에 주목했다. 김 의장이 지분 100%를 소유한 케이큐브홀딩스의 불성실한 공시에 대한 조사에 들어갔다. 여기에 케이큐브홀딩스에 김 의장의 자녀들이 채용된 것에 대한 의혹도 불거졌다. 이에 따라 카카오와 주요 계열사 대표들은 9월 13일과 14일 이틀에 걸쳐 전체 회의를 열고 사회적 책임을 강화하는 방안을 논의했다. 골목상권 침해 논란 사업은 철수할 것9월 14일 발표된 상생 방안에는 골목상권 논란 사업 철수 및 혁신 사업을 중심으로 재편, 파트너 지원 확대를 위한 기금 5년간 3000억원 조성, 케이큐브홀딩스 사회적 가치 창출 집중 등 사회적 책임을 강화한다는 내용이 담겼다.핵심은 골목상권 침해로 논란이 된 사업을 정리하는 것이다. 논란이 된 계열사는 정리와 철수를 검토할 예정이다. 케이큐브홀딩스는 미래 교육과 인재 양성과 같은 사회적 가치 창출에 집중하는 기업으로 전환한다. 김 의장은 “최근의 지적은 사회가 울리는 강력한 경종”이라며 “카카오와 모든 계열 회사들은 지난 10년간 추구

    2021.10.05 06:00:19

    브레이크 걸린 카카오…10년 만에 성장 방식 유턴?
  • 연보라·오버핏으로 Z세대 옷장 차지한 ‘널디’

    [비즈니스 포커스] 편한 옷을 추구하는 트렌드와 함께 자신만의 정체성을 잃지 않으려는 Z세대들의 취향이 어우러져 ‘스트리트 브랜드’가 성장하고 있다. 하지만 외국 브랜드가 주류를 이뤘던 1990년대의 거리 패션과는 조금 다르다. 최근엔 한국 스트리트 브랜드들의 활약이 오히려 외국 브랜드를 앞지르는 추세다.스트리트 브랜드 ‘널디’는 2017년 5월 브랜드 론칭 3개월 만에 매출 15억원, 지난해에는 연매출 544억원을 달성하며 놀라운 시작을 알렸다. 아이유·지코·빌리 아일리시 등 셀러브리티들이 착용해 관심을 모았고 연보라색 컬러와 오버핏으로 브랜드 이미지를 확고하게 다졌다. 최근에는 온라인에 이어 오프라인 매장 진입 1년 만에 30개로 매장을 확장하며 홍대 패션을 바꿔 놓고 있다. 트랙슈트 열풍 등에 업고 온·오프 공략 널디의 성장 비결을 분석하기 전에 변화하는 패션업계의 트렌드를 먼저 짚어 볼 필요가 있다. 전 세계적으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로 거리 두기가 확산되면서 집 안과 밖에서 모두 편하게 입을 수 있는 ‘원 마일 웨어’가 각광받기 시작했다. 재택근무의 활성화로 정장보다 스트리트 브랜드를 찾는 이들이 늘어났다.그중에서도 최근 인기 있는 아이템은 트랙슈트다. 상의와 하의를 맞춰 입음으로써 실용성과 멋을 동시에 추구할 수 있는 트랙슈트는 이제 운동복이 아닌 일상복으로 자리 잡았다.이러한 상황 속에서 널디의 성장은 어쩌면 자연스러운 결과였다. 널디는 올해 상반기 330억원의 매출을 올리며 선전했다. 특히 트랙슈트 판매량이 늘면서 널디에서도 팬츠 매출이 300% 증가했다. 널디 관계자는 &l

    2021.09.30 06:00:03

    연보라·오버핏으로 Z세대 옷장 차지한 ‘널디’
  • 저물어 가는 초대형 항공기 시대

    [비즈니스 포커스]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로 여객 수요가 대폭 줄어든 시점에서 대형 항공기 시대가 차차 저물어 가고 있다. 수요는 반 토막이 났는데 고정비용은 어마어마하기 때문이다. 계산기를 두드린 항공사들은 이제 항공기 운영에서도 가성비를 따져야 한다는 판단을 내린 것으로 보인다. ‘하늘을 나는 호텔’이라는 별칭으로 사랑받았던 에어버스의 A380도 생산 중단에 들어갔다. 이 항공기는 보잉 747과 함께 대형 항공기 시대의 막을 올린 기종이다. 2층 구조와 함께 샤워 시설·라운지·면세점까지 갖춘 초대형 항공기다. 적게는 500여 명, 많게는 800여 명의 승객을 태울 수 있다. 이러한 화려한 시설에도 불구하고 주요 항공사들은 대형 항공기 대신 중형 항공기의 운영을 확대할 계획을 세우고 있다.대형 항공기가 외면받게 된 것은 비단 코로나19 때문만은 아니다. 전 산업군에 도래한 친환경 규제, 공항 운영의 변화 등 다양한 요인이 어우러진 결과다. ‘점보 여객기’ 정리하는 글로벌 항공사들 에미레이트항공은 전 세계에서 A380을 가장 많이 운영하는 항공사다. 오는 11월 마지막으로 A380 여객기를 인도받음으로써 총 118대의 A380을 운영하게 된다.A380의 최대 고객이었던 에미레이트항공도 지난해 코로나19의 여파로 A380 여객기 운항을 잠시 중단했다. 더 나아가 에미레이트항공이 대형 여객기를 정리하는 수순을 밟고 있다는 항공업계의 관측이 나오기 시작했다. 향후 2~3년간 코로나19로 인해 대형 항공기 운영이 어려워질 것이란 판단을 내렸기 때문이다. 에미레이트항공 외에도 루프트한자·싱가포르항공 등이 A380의 운항을 중단했다.  

    2021.09.29 06:00:02

    저물어 가는 초대형 항공기 시대
  • 신동원 시대 막 오른 농심…신사업 향해 진격

    [비즈니스 포커스]“스타트업처럼 활발하게 성장해 나가자.”선친인 고(故) 신춘호 농심 창업자의 뒤를 이어 지난 7월 새롭게 농심의 수장에 오른 신동원 회장이 취임사에서 밝힌 각오다. 신 회장은 ‘인생을 맛있게, 농심’이라는 새 슬로건을 공개하며 임직원들에게 ‘변화’와 ‘혁신’에 앞장설 것을 주문했다.‘신동원호(號)’의 닻을 올린 농심이 신사업 확대에 속도를 내고 있다. 라면의 뒤를 잇는 ‘캐시카우’를 만들겠다는 목표를 세우고 식품 사업 카테고리 확장에 적극적인 행보를 펼치기 시작한 것이다. 새로운 리더십의 출범과 함께 ‘뉴 농심’을 예고하고 있다. ‘뉴 농심’ 예고하며 식품 영토 확장‘79.0%.’농심의 전체 매출에서 라면이 차지하는 비율이다. 지난해 농심은 약 2조6000억원의 매출을 기록했다. 이 가운데 약 2조1000억원이 라면에서 나왔다. 신라면·안성탕면·너구리·짜파게티 등 수많은 히트 상품들을 앞세워 한국 라면 시장에서 50%가 넘는 점유율을 기록 중이기도 하다. ‘라면은 역시 농심’이라는 말이 괜히 나온 것이 아니다.라면을 앞세워 매년 안정적인 성장세를 기록 중인 농심이 최근 사업 다각화에 적극적으로 나선 배경은 미래 가공식품 시장을 바라보는 전망 때문이다.농심에 따르면 라면과 같은 가공식품의 주요 구매자는 10~30대다. 문제는 출산율 등의 감소에 따라 10~30대 인구가 계속해 줄어들고 있다는 점이다. 라면 의존도가 높은 농심으로선 지속 가능한 성장을 낙관할 수 없는 시장 환경이 도래하고 있는 셈이다.농심 관계자는 “이런 인구 구조의 변화에 따라 라면을 비롯한 내

    2021.09.28 06:09:02

    신동원 시대 막 오른 농심…신사업 향해 진격
  • ‘변방’에서 ‘주류’로…수제 맥주 전성시대

    [비즈니스 포커스]“당신의 수제 맥주를 뽑아주세요.”롯데칠성음료는 ‘수제맥주 캔이 되다’라는 이름의 대국민 수제 맥주 발굴 오디션 투표를 진행하고 있다. 소비자들이 원하는 디자인과 맛의 수제 맥주를 위탁 생산(OEM) 형태로 출시하기 위해서다. 현재 총 30개 브루어리의 70여 개 수제 맥주 브랜드가 오디션에 응모해 소비자들의 선택을 기다리고 있다. 한국에서 운영 중인 브루어리가 대략 150여 곳인 것을 감안하면 5개 업체 중 1곳이 오디션에 참가한 셈이다. 투표는 9월 26일까지 진행된다. 롯데칠성음료는 높은 득표율을 기록한 업체들을 최종 선정한 뒤 자사의 맥주 생산 공장을 활용해 제품을 대량 생산할 수 있는 기회를 부여할 예정이다.주류 시장의 ‘변방’ 취급을 받아 왔던 수제 맥주의 위상이 최근 급격하게 높아지고 있다. 참신한 디자인과 맛을 앞세워 소비자들을 사로잡으며 서서히 맥주 시장의 ‘대세’로 자리를 이동하는 모습이다.‘다양한 맛’ 추구하는 니즈 확산수제 맥주의 시장 규모 자체는 아직 크지 않다. 한국수제맥주협회에 따르면 지난해 수제 맥주 시장 규모는 약 1200억원으로 추산된다. 전체 맥주 시장이 약 5조원 정도인 것을 감안하면 차지하는 비율 자체는 미미하다. 하지만 업계에서는 이 시장의 빠른 성장 속도에 주목하고 있다.2013년까지만 하더라도 수제 맥주의 시장 규모는 100억원이 채 되지 않았지만 불과 7년 사이 시장이 10배 이상 커졌다. 향후에도 이런 추세는 당분간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수제맥주협회는 올해 시장 규모가 지난해 대비 2배 커진 2000억원 이상이 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한 업계 관계자는 “특히 신종 코로나

    2021.09.17 06:09:02

    ‘변방’에서 ‘주류’로…수제 맥주 전성시대
  • 혈맹 늘리는 금융사…타업종과 ‘협업 또 협업’

    [비즈니스 포커스]‘데이터가 자원이다.’ 타업종과 데이터 동맹이 금융사의 새로운 생존 공식으로 부상했다. 유통사 등의 데이터를 확보하면 개인화 서비스의 핵심인 ‘품목 정보’를 알 수 있다. 금융사가 보유한 방대한 금융 정보에 타업종이 보유한 고객 데이터를 결합하면 초개인화된 맞춤형 금융 상품을 내놓을 수 있는 셈이다. 이는 강력한 플랫폼을 앞세운 네이버와 카카오 등 빅테크(대형 IT 기업)에 맞서기 위한 생존 전략이기도 하다. 비금융권과의 동맹으로 데이터가 쌓이고 이렇게 쌓인 데이터는 금융 상품 개발로 이어지며 이는 또 락인 효과(고객 묶어 두기)로 연결돼 이른바 ‘선순환’ 효과를 노릴 수 있다. 은행·편의점 연합 전선 활발은행들은 최근 편의점과의 연합 전선을 펼치고 있다. 수년 전 은행 점포 안에 카페·빵집·전시관을 들여놓았던 이른바 ‘숍인숍(가게 안에 또 다른 가게가 있다는 의미)’과 다른 모습이다. 당시엔 점점 천덕꾸러기로 전락하는 은행 점포를 임대 수익을 올리는 방향으로 대응했다면 이젠 소비자의 접근성이 높은 편의점과 손잡고 디지털 특화 점포 구축에 한창이다. 비용이 많이 드는 오프라인 비율을 낮추면서도 고객과의 접점을 늘리기 위한 전략이다.선봉에 선 곳은 신한은행과 하나은행이다. 신한은행은 전국 편의점 채널을 보유한 GS리테일과 함께 인공지능(AI) 행원이 직접 서비스를 공급하는 ‘편의점 혁신 점포’를 연내 선보인다. GS25 편의점에 별도 공간을 마련한 후 디지털 데스크를 설치한다. 디지털 데스크 화면에 은행원의 목소리와 몸짓 등을 익힌 AI가 영상으로 나타나는 방식이다. 신한은행

    2021.09.16 06:00:04

    혈맹 늘리는 금융사…타업종과 ‘협업 또 협업’
  • 정육 시장으로 옮겨 붙은 ‘배달의 전쟁’

    [비즈니스 포커스]동원그룹 식품 계열사인 동원홈푸드는 8월 초 온·오프라인 연계(O2O) 플랫폼 사업 진출을 선언했다. ‘미트큐(meat Q) 딜리버리’라는 이름의 애플리케이션(앱) 출시를 통해서다. 미트큐 딜리버리는 주변 맛집의 음식들을 빠르게 배달해 주는 ‘배달의 민족’의 정육점 버전이라고 보면 된다.앱을 설치하고 주소지를 등록하면 인근에 있는 정육점들의 리스트가 화면에 뜬다. 이들 중 원하는 정육점을 선택해 원하는 고기의 부위와 중량을 주문하고 결제까지 간편하게 진행할 수 있다. 미트큐 딜리버리의 가맹 정육점은 고객의 주문이 접수되는 동시에 고기를 썰어 보랭 팩에 포장한다. 최적의 신선도를 유지하기 위해서다. 이렇게 포장된 고기를 최대 1시간 이내에 고객이 원하는 장소로 가져다준다.오직 고기만을 배달해 주는 ‘정육 배송 시장’이 최근 뜨거워지고 있다. 동원홈푸드처럼 신선하고 다양한 부위의 고기를 빠르게 전달해 주는 것을 ‘무기’로 들고나와 소비자들의 밥상을 공략하고 나선 기업들이 많아졌다. ‘온라인 정육점’ 시대가 성큼 다가왔다. 밥 대신 고기…지속 성장 중인 정육 시장 관련 업계에 따르면 정육 배송 시장이 각광받는 배경은 크게 두 가지로 분석된다. 첫째는 한국인의 ‘고기 사랑’ 자체가 남다르기 때문이다.육류는 한국인의 주식으로 자리매김했다. 한우정책연구소에 따르면 지난해 한국의 육류(쇠고기·돼지고기·닭고기) 1인당 소비량은 54.3kg으로 집계됐다. 쌀 소비량(57.7kg)의 94% 수준까지 근접했다. 지금의 추세라면 내년에는 처음으로 육류 소비량이 쌀 소비량을 추월할 것으로 전

    2021.09.15 06:08:02

    정육 시장으로 옮겨 붙은 ‘배달의 전쟁’
  • 펫보험에서 자전거보험까지…‘미니 보험’이 뭐길래

    [비즈니스 포커스]올해 6월 소액 단기 전문 보험업을 골자로 한 보험업법 시행령 개정안이 시행됐다. 펫보험·여행자보험·날씨보험 등 일상생활과 밀접한 상품을 전문적으로 판매하는 소액 단기 보험사(미니 보험사)가 설립될 수 있도록 자본 요건을 완화한 게 핵심이다. 하지만 현장의 반응은 미지근하다. 기존 보험사는 물론 인슈어테크·핀테크 중 선뜻 나서는 주체가 없다. 종합 보험사들은 이미 미니 보험을 만들고 있어 자본금을 들여 가면서 시장에 참여하기에는 매력이 떨어지고 핀테크 업체는 수익성 대비 초기 투자 부담이 커 성공 사례가 나올지 미지수다.  특정 암만 보장하는 미니 암보험 ‘인기’우선 짚고 넘어갈 부분은 ‘미니 보험’ 상품 자체는 아직 갈 길이 먼 ‘미니 보험사’의 상황과 달리 시장의 주목을 받고 있다는 점이다. 미니 보험의 정식 명칭은 ‘소액 단기 전문 보험’이다. 보험료가 소액이고 보험 가입 기간이 단기인 것이 특징이다. 필요한 시점에 간단한 가입 심사로 손쉽게 가입할 수 있다. 즉 불필요한 특약과 담보를 없애는 대신 보험료를 1만원 미만으로 낮춘 소액 보험 상품이다. 여행을 갈 때 가입하는 여행 보험이나 스마트폰의 파손 등을 대비해 가입하는 휴대전화 보험 등이 대표적이다. 생명보험협회에 따르면 생명보험사의 온라인 채널 가입자가 낸 초회 보험료(1회 차 보험료)는 2017년 102억원에서 지난해 253억원으로 두 배 이상 늘었다. 점점 증가 추세로 특히 지난해에는 50% 성장률을 기록했다. 온라인 채널 생명보험 상품은 대부분 미니 보험이다. 실속을 중요하게 여기는 MZ세대(밀레니얼+Z세대)가

    2021.09.15 06:00:39

    펫보험에서 자전거보험까지…‘미니 보험’이 뭐길래
  • ‘부진의 늪’ 빠진 주력 계열사…애경그룹 화학 3형제 ‘구세주’ 될까

    [비즈니스 포커스]애경그룹이 화학 사업을 미래 먹거리로 삼고 제2 도약에 시동을 걸고 있다. 1954년 설립된 애경그룹은 작은 비누 회사(애경유지공업)에서 시작해 화학·유통·항공을 아우르는 대기업으로 성장했다.홍대 신사옥 준공과 계열사 상장 등 외형 확장을 통해 2019년 공정거래위원회 대기업집단에 신규 포함돼 재계 순위 58위로 올라섰다. 승승장구하던 애경그룹은 2020년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로 실적 부진의 늪에 빠지게 됐다.지난해 주력 계열사인 제주항공은 코로나19의 여파로 적자가 눈덩이처럼 불어났고 애경산업의 매출액은 전년보다 16.1% 줄어든 5881억원, 영업이익은 63% 감소한 224억원을 냈다. 모든 사업부문이 부진에 빠졌지만 애경유화만 전년보다 영업이익이 증가했다.주력 사업의 위기로 애경그룹의 지주회사인 AK홀딩스의 실적도 저조했다. AK홀딩스는 지난해 매출 2조6200억원, 영업손실 2216억원을 냈는데 매출은 30.3% 줄었고 영업이익은 적자로 전환됐다.  미래 먹거리 ‘화학 3사 합병’으로 승부수애경그룹은 코로나19의 영향으로 지난해 추진해 온 신사업들을 모두 포기하면서 신성장 동력 확보에 차질을 빚었다. 항공 사업을 미래 먹거리로 육성하기 위해 제주항공을 통해 이스타항공 인수에 뛰어들었지만 코로나19 장기화로 항공 산업의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결국 인수 의사를 철회했다.야심차게 추진하던 인천 송도 애경그룹 종합기술원 프로젝트도 결국 무산됐다. 애경그룹은 송도에 2022년까지 애경그룹 종합기술원을 설립해 연구 전담 조직을 신설하고 첨단 소재 개발, 독자 기술 확보, 친환경·바이오 연구 등을 추진해 신제품 개발

    2021.09.14 06:02:02

    ‘부진의 늪’ 빠진 주력 계열사…애경그룹 화학 3형제 ‘구세주’ 될까
  • 삼성 240조원 투자 계획안에 ‘배터리’ 없는 이유

    [비즈니스 포커스]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이 가석방돼 출소한 지 10여 일 만에 삼성이 240조원대 대규모 투자 계획을 공개한 가운데 배터리 투자에 대한 계획을 구체적으로 밝히지 않아 여러 해석이 나오고 있다.삼성은 2023년까지 3년간 반도체·바이오·차세대 통신 등 미래 전략 사업에 240조원을 신규로 투자한다고 8월 24일 밝혔다. 이는 2018년 발표한 180조원 투자 계획을 뛰어넘는 단일 기업 사상 최대 규모다.삼성은 메모리 경쟁력 절대 우위를 유지하고 시스템 반도체 분야 글로벌 1위로 도약하기 위해 2030년까지 반도체 분야에 171조원을 투자한다.눈길을 끄는 점은 삼성이 배터리가 아닌 바이오 사업을 ‘제2 반도체’로 낙점한 것이다. 삼성은 바이오의약품 위탁 개발 생산(CDMO)과 바이오시밀러 강화를 통해 바이오 분야를 미래 성장 동력으로 키워 제2의 반도체 신화 주역으로 만들겠다고 밝혔다.  배터리, 반도체·바이오에 왜 밀렸나업계에선 이 부회장이 8월 13일 가석방된 이후 삼성의 차세대 주력 사업인 반도체와 배터리 사업에 대한 의사결정이 탄력을 받게 될 것으로 예상했다. 삼성은 이 부회장이 구속 수감된 2017년 이후 총수의 과감한 의사 결정이 필요한 대규모 투자와 인수·합병(M&A)이 사실상 올스톱 상태였다.특히 점유율 격차가 벌어지고 있는 삼성전자의 반도체 파운드리(위탁 생산) 미국 제2 공장 증설과 함께 삼성SDI의 미국 내 전기차 배터리 공장 건설, 삼성바이오로직스의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백신 생산 투자 등이 이 부회장의 복귀 후 해결해야 할 가장 시급한 현안으로 꼽혔다.그동안 해외 생산 거점 마련에 소극적이었던 삼성SDI

    2021.09.13 06:02:01

    삼성 240조원 투자 계획안에 ‘배터리’ 없는 이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