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은 통화정책 우선순위 재검토해야
미국 중앙은행(Fed)이 금리를 올린 지 어느덧 1년을 맞았다. 지난 1년 동안 금리 인상 과정은 숨가쁘고 거칠고 변화무쌍했다. 첫 금리 인상 이후 매 회의 때마다 금리 인상 폭이 높아지다가 지난해 12월 회의를 계기로 빅스텝으로 낮아지더니 올해는 ‘금리 인하’에 대한 기대가 나올 만큼 분위기가 바뀌고 있다. 세계 중앙은행 격인 Fed의 통화정책은 곧바로 각국 중앙은행의 통화정책에 영향을 미쳤다. 20년 이상 동안 ‘저물가·저금리’ 국면이 몸에 익었던 경제주체뿐만 아니라 주식 시장을 비롯한 금융 시장도 혼선을 치렀다. ‘대(大)’자가 붙을 만큼 격변과 혼선을 치른 1년이 지난 시점에서 ‘과연 인플레이션이 잡혔는가’ 하는 점이다.올해 경제 실상이 반영되는 통계가 2월부터 속속 발표되기 시작하면서 우려했던 상황이 벌어지고 있다. 미국의 인플레 지표는 여전히 목표치의 3배 이상 높다. 실리콘밸리은행(SVB) 사태를 계기로 우려해 왔던 구성의 오류(fallacy of composition), 즉 거시적으로 물가를 잡기 위해 금리를 올리는 과정에서 미시적으로 디폴트가 발생하고 있다.모든 경제정책 가운데 통화정책만큼 어려운 것도 없다. 통화정책은 의도했던 목적을 달성하는 데 생명인 ‘선제성(preemptive)’을 잘 지켜야 한다. 통화정책 목표가 다수일 때는 ‘틴버겐 정리(Tinbergen theorem)’에 따라 목적에 적합한 수단을 가져가야 한다. 정치적 포퓰리즘에서 벗어나 독립성을 지켜 중앙은행에 대한 신뢰를 유지하는 것도 중요하다.지난 1년 동안 1980년대 초에 이어 두 번째로 강력한 금리 인상을 추진했음에도 의도했던 효과를 제대로 거두지 못한 데는 이 모든 전제조
2023.03.27 09:56:10
-
'쓰레기가 돈 된다'…건설사들이 폐기물 처리 사업에 뛰어드는 이유
[비즈니스 포커스] 지난해 한국 건설사들이 적극적으로 뛰어든 새로운 산업이 있다. 바로 폐기물 처리 사업이다. SK와 롯데 등 대형 건설사들은 물론이고 태영·동부·아이에스동서 등 중형 건설사들까지 본격적으로 사업에 나섰다. 이들이 폐기물 처리 사업에 뛰어드는 이유는 명확하다. 폐기물 처리 사업은 경기 변동의 영향이 작고 한 번 설비를 갖추면 꾸준한 현금 흐름이 나오기 때문이다. 분양 시장과 해외 수주 여부에 따라 실...
2021.03.05 08:09:02
-
‘속도냐’, ‘입지냐’ 선택의 기로...다시 짜는 청약 전략
[비즈니스 포커스]정부가 주택 공급 대책을 대거 쏟아내면서 수도권에 거주하는 예비 청약자들이 고민에 빠졌다. 올 하반기부터 시작될 3기 신도시 사전 청약과 2월 4일 발표된 ‘서울 도심 고밀 개발을 통한 공공 분양’ 중 어디를 선택해야 할지 혼란스럽기 때문이다.3기 신도시는 서울 외곽 수도권에 자리해 2‧4대책 사업지(예정지)보다 입지가 떨어지지만 신규 택지에 건설하는 만큼 사업이 속도를 내고 있다. 반면 2‧4대책 사업지는 서울과 접근성이 3기 신도시보다 우수하지만 기존 주택 지역을 개발하는 만큼 공급까지 걸리는 시간이 더 필요한 상황이다.결국 예비 청약자에게는 ‘속도냐’, ‘입지냐’의 선택이 필요한 상황이다.광명‧시흥에 7만 가구 6번째 3기 신도시 공급국토교통부는 2월 24일 2‧4대책에 포함됐던 신규 공공 택지 후보지 중 1차 입지로 경기 광명‧시흥을 선정했다고 발표했다. 그러면서 기존에 발표했던 3기 신도시에 포함시켜 ‘6번째 3기 신도시’라고 명명했다.이 지역에는 7만 가구 규모의 주택이 공급될 예정이다. 이는 여의도 면적의 4.3배에 이른다. 2‧4대책에서 밝힌 6번째 3기 신도시를 제외한 나머지 15만 호의 신규 공공 택지 입지는 오는 4월께 공개할 예정이다.앞서 발표된 기존의 3기 신도시는 남양주 왕숙(6만6000가구), 하남 교산(3만2000가구), 고양 창릉(3만8000가구), 부천 대장(2만 가구), 인천 계양(1만7000가구) 등 5곳이었으니 이번에 선정된 광명·시흥 규모면에서 가장 크다.서울과의 접근성도 기존 3기 신도시에 비해 가장 우수하다. 서울 여의도에서 12km 거리로 수도권 제1순환고속도로 안쪽에 자리하고 있다. 서울시 경계에서
2021.02.27 08:09:01
-
[프리뷰]노원‧도봉의 거침없는 집값 상승에는 이유가 있다
[비즈니스 포커스] 서울의 대표적 외곽 지역 노원구와 도봉구가 변하고 있다. 서울의 급속한 인구 증가로 1980년대부터 조금씩 아파트들이 지어졌던 이곳은 어느덧 중저가 아파트가 모여 있는 서민들의 보금자리로 거듭났다. 하지만 이제는 더 이상 서민들의 보금자리라는 말을 붙이기 머쓱해졌다. 노원구 아파트는 3.3㎡당 평균 매매 가격이 3000만원을 넘었고 도봉구에서는 올해 들어 전용 84㎡ 아파트 매매 가격이 10억원을 넘겼다. 이들 지역의 ...
2021.02.20 08:10:02
-
그린 뉴딜 바람 타고 ‘친환경’에서 미래 찾는 건설사들
건설사들이 친환경 사업에 속속 진출하고 있다. 최근 정부가 ‘그린 뉴딜’을 주요 정책 과제로 삼고 친환경·저탄소 분야에 5년간 73조원을 투자한다고 발표한 영향이 크게 작용했기 때문이다.더욱이 글로벌 경기 불황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에 따른 해외 수주 감소, 주택 시장 불안정도 건설사들이 친환경 사업에 뛰어들 수밖에 없는 이유가 됐다.관련업계에 따르면 건설사들은 신재생에너지, 폐기물 처리, 수자원 관리, 스마트 팜 등 친환경 산업 영역 대부분에 적극적이다.가장 활발한 분야는 신재생에너지 사업이다. 대형사와 중견사 구분 없이 신재생에너지 역량 강화에 뛰어들고 있다. 특히 SK건설은 최근 조직 개편을 단행하면서 친환경사업부문을 신설하고 기존 에너지기술부문을 신에너지사업부문으로 개편했다.신에너지사업부문은 친환경 분산 전력공급원인 고체산화물 연료 전지 사업과 태양광·풍력 등 신재생에너지 사업, 액화천연가스(LNG) 발전 등 친환경 사업이 포함된다. 현대건설도 신재생에너지 신사업에 주목하고 있다.현대건설은 지난해 현대일렉트릭과 업무 협약을 통해 에너지 신사업, 스마트 전력 시스템, 한국 신재생 변전소 사업 등 총 세 분야에 걸쳐 협력하기로 했다.GS건설도 일찍이 신재생에너지 사업을 제2의 성장 동력으로 삼고 관련 사업 영역 확장에 주력하고 있다. 지난해 포항 차세대 배터리 리사이클링 규제자유특구에서 1000억원의 투자를 결정하며 2차 전지 재활용 사업에 진출했고 해외 태양광 발전 사업도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중견 건설사 코오롱글로벌은 양양 풍력 단지와 태백 하사미 풍력 단지, 태백 가덕산 풍력 2단지 등 풍력
2021.02.13 08:5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