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중혁의 신산업 리포트=반려동물]
- 미국 가정 67%가 반려동물 키워
- 2021년 반려동물 관련 기업 상장 ‘러시’
[최중혁 칼럼니스트] “우린 지금 위기야. 잘 봐둬. 우리의 숙적, 애완견들.”
드림웍스의 장편 애니메이션 ‘보스 베이비’에선 ‘베이비 주식회사’ 소속 베이비들은 애완견 때문에 예전만큼 사랑받지 못한다며 위기의식을 느낀다. 영화에서 베이비들은 영원히 늙지 않는 개를 만드는 ‘퍼피 주식회사’를 망하게 해야 한다는 미션을 받는다.
영화의 코믹한 요소지만 실제로 미국의 상황도 비슷하다. 2019년 여성 1명이 평생 낳을 것으로 예상되는 평균 출생아 수를 나타내는 합계 출산율은 미국 가임 여성 1명당 1.728명으로 사상 최저치다. 이는 글로벌 금융 위기로 경제가 큰 타격을 입은 2007년 2.12명을 기록한 이후 지속적으로 하락 중이며 경제가 반등한 이후에도 하락세가 지속됐다.
반면 같은 기간 미국에서 반려동물의 숫자는 계속 증가세다. 스태티스타에 따르면 2006년 미국인들이 기르는 반려견은 7480만 마리였지만 2017년엔 8970만 마리로 훌쩍 늘었다.
미국반려동물용품협회(APPA)가 2019년부터 2020년까지 조사한 결과 가구 수를 기준으로 미국에서 가장 많이 키우는 반려동물은 개(6340만 가구)이고 고양이(4270만 가구)와 민물고기(1150만 가구)가 그 뒤를 잇는다. APPA의 조사에 따르면 같은 기간 미국 67%의 가구인 8500만 가구에서 반려동물을 기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 반려동물 전용 이커머스가 뜬다
미국 반려동물 시장은 꾸준히 성장해 왔다. APPA의 자료에 따르면 2005년 360억 달러(약 39조7000억원) 규모였던 미국 반려동물 시장은 2020년 990억 달러(약 109조3000억원)로 예상된다. 무엇보다 고무적인 것은 이 시장이 금융 위기 당시인 2008년부터 2010년까지도 위축되지 않고 평균 5.4% 성장했다는 점이다.
반려동물을 사람과 동일시하는 현상인 펫 휴머니제이션(pet humanization)이 반려동물 시장 성장의 기폭제 중 하나다. 게다가 2020년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위험에 따라 집에 있는 시간이 늘면서 팬데믹 퍼피(pandemic puppy)라는 신조어가 생길 정도로 반려동물을 입양하는 숫자 또한 증가했다.
눈에 띄게 성장한 산업 중 하나가 바로 반려동물 관련 이커머스다. 미국 반려동물 시장에서 2019년 기준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한 항목은 사료·간식으로 38.6%였다. 특히 반려동물이 섭취하는 사료는 주기적인 배송이 필요해 최근 들어 구독 서비스를 통해 할인 혜택을 주는 업체들이 늘고 있다.
그중 대표적인 회사가 추이(Chewy)다. 2017년 미국 반려동물 오프라인 업체 1위 펫스마트(PetSmart)에 33억 달러에 인수된 뒤 2019년 나스닥시장에서 성공적으로 기업공개(IPO)한 추이는 아마존의 온라인 펫 비즈니스를 2위로 누르고 미국 반려동물 이커머스 시장 1위를 차지하고 있다.
[자세한 내용은 12월 28일 발행되는 한경비즈니스 1309호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ericjunghyuk.choi@gmail.com
[본 기사는 한경비즈니스 제 1308호(2020.12.21 ~ 2020.12.27) 기사입니다.]
© 매거진한경,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