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강성진 KB증권 애널리스트는 28일 '미국 자동차 관세 시뮬레이션' 보고서에서 이 같은 전망을 제기했다.
그는 "관세 부과로 현대차와 기아의 영업이익 감소 폭은 각각 연 3조4000억원, 2조3000억원으로 예상되며 HMGMA의 생산 대수가 늘어나면 피해는 줄어든다"고 분석했다.
강 연구원은 "HMGMA가 연 30만대를 생산하면 양사의 영업이익 감소 폭은 1조원과 9000억원까지 감소하며 연 50만대 상황에서는 현대차의 영업이익은 오히려 5000억원 늘고 기아의 영업익도 관세 부과 전과 큰 차이가 없어진다"고 전망했다.
그는 "관세 부담이 미국 소비자에게 전가될 가능성은 커졌다"며 "현지 자동차 가격은 크게 오를 것으로 보이며 만약 관세의 71%가 미국 소비자에게 전가되면 HMGMA의 가동이 없어도 가격 상승에 따른 수혜가 관세 피해를 상쇄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미국의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26일(현지시간) 외국산 차량에 25% 관세를 부과하는 내용의 행정 명령에 서명했다. 이에 따라 한국 자동차 기업에 미칠 여파를 놓고 업계 우려가 커지고 있다. 자동차는 한국의 대미 수출 품목 1위이기 때문이다.
강 연구원은 "미국의 판매 차량 중 수입차가 차지하는 비중이 절반이라 미국의 현지 생산이 늘어도 수입을 단기간에 대체하는 것은 불가능하다"며 "이번 관세 부과로 미국의 차량 가격이 2천∼7천달러 상승하고 중고차 가격이 급등할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고 짚었다.
김정우 기자 enyou@hankyung.com
© 매거진한경,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