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부자의 선택] ‘2차전지주’ 수익률 상위권 싹쓸이

    최근 2차전지 종목들의 하락세가 가파르지만 부자들은 2차전지 종목들로 높은 수익을 거둔 것으로 나타났다. 미래에셋증권이 집계한 초고수의 투자 목록에서는 포스코홀딩스와 에코프로, 포스코퓨처엠이 순매수 상위 1~3위 종목에 포함됐다. 지난해 12월 23일부터 올해 9월 14일까지 수익률 기여도 상위 종목을 추출한 결과에 따르면 포스코홀딩스는 73.19%의 수익률을 거뒀다. 또한 순매수 상위 10개 종목의 포함 횟수로는 73회에 달했다. 다음으로 에코프로와 포스코퓨처엠이 각각 47.33%, 46.51%로 총 46회에 이른다. 상위 10종목을 지난해 12월 20일부터 지난 9월 14일까지 추종 매수했을 때의 한 달 주기 누적수익률은 53.25%에 달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이 기간 코스피 누적수익률(10.27%)보다 5배에 육박하는 성과를 달성한 셈이다. 성과 측정은 매수 상위 10개 종목을 한 달 주기로 전량 매도하고 추종 매수하는 방식으로 진행됐다. 투자 기간을 좀 더 줄였더니 투자 성과는 더욱 좋아졌다. 일주일 주기로 전략 매도 후 초고수 종목을 추종 매수했을 때 상위 10종목의 누적수익률은 84.35% 급등했다. 투자 기간을 하루 주기로 더 짧게 했더니 누적수익률은 212.95%로 뛰었다. 수익률 기여도 상위 종목을 집계한 기간을 지난 8월 1일부터 9월 14일로 좁혀도 포스코홀딩스가 가장 성과가 높았다. 이 기간 동안 포스코홀딩스의 수익률은 12.83%로 상위 종목 횟수가 13회에 이른다. 2·3위 종목은 한미반도체(12.09%), SK하이닉스(11.01%) 순으로 나타났다. 수익률 기여도 기간을 짧게 하면 에코프로의 수익률은 7.08%, 포스코퓨처엠은 4.96%로 낮아졌다. 이미경 기자 esit917@hankyung.com | 자료 미래에셋증권 제공

    2023.09.27 10:58:23

    [부자의 선택] ‘2차전지주’ 수익률 상위권 싹쓸이
  • 작년 80조 까먹던 국민연금, 올 1분기에만 58조 벌었다

    지난해 80조원 가까운 평가손실을 냈던 국민연금이 올해 1분기 58조원의 수익을 거두며 손실을 상당 부분 만회할 수 있게 됐다. 국민연금공단 기금운용본부는 올해 1분기 말까지 국민연금기금 수익률이 6.35%(잠정)를 기록했다고 30일 밝혔다. 수익금은 58조4000억원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국민연금은 수익률 –8.22%(잠정)를 기록하며 1999년 기금운용본부 출범 이후 역대 가장 낮은 수익률을 기록했다. 당시 손실액은 79조6000억원에 달했는데, 올해 1분기 수익으로 지난해 손실액 중 73.4%가량을 만회했다. 기금 설립 이후 누적 운용수익금은 509조7000억원, 기금평가액은 953조2000억원이다.공단은 “연초 이후 세계 금융 시장은 해외 중소은행 위기 사태와 경기침체 우려에도 주식·채권 모두 강세를 보이며 수익률이 회복세를 보였다”며 “인플레이션(물가상승)이 완화되고 미연방준비제도(연준)의 기준금리 인상 폭이 전년 대비 줄어드는 등 긴축 속도 조절에 대한 기대감이 시장에 긍정적으로 작용했다”고 설명했다.자산별로 수익률을 살펴보면 △국내주식 12.42% △해외주식 9.70% △국내채권 3.25% △해외채권 5.38% △대체투자 3.49%로 나타났다. 대체투자의 경우 이자·배당수익이거나 원·달러 환율 상승으로 인한 환산이익이어서 연말에 가치 평가가 이뤄지게 된다.1분기 전통자산 수익률은 기준수익률(벤치마크·BM)을 모두 상회했다. △국내주식 0.05%포인트(p) △해외주식 0.57%p △국내채권 0.11%p △해외채권 0.06%p의 초과 성과를 냈다.김태현 국민연금공단 이사장은 “통화긴축 영향과 주요국의 경기침체 우려 등으로 세계 경제의 불확실성이 큰 상황에서 양호한 수익률을 기록했다”며 “시장 변동성 확대에 대응하고

    2023.05.30 16:52:12

    작년 80조 까먹던 국민연금, 올 1분기에만 58조 벌었다
  • 노후자금 투자, ‘수익률’만큼 ‘순서’도 중요

    [한경 머니 기고 = 김동엽 미래에셋투자와연금센터 상무] 베이비붐 세대의 은퇴가 본격화되면서 노후자금을 어떻게 운용해야 것인가에 대한 고민이 깊어지고 있다. 낮아진 금리와 늘어난 수명으로 인해 작금의 은퇴자들은 노후자금을 더 이상 예금과 같은 원리금 보장 상품에만 맡겨 둘 수 없는 상황에 처해 있다. 늘어난 수명만큼 노후자금의 수명을 늘리기 위해 이제 투자는 피할 수 없는 선택지가 됐다. 앞으로 노후자금을 투자하면서 인출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사례에 대한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한 이유다.“좋은 소식과 나쁜 소식이 하나씩 있는데, 어느 것부터 들을래?” TV 드라마나 영화에서 가끔 이런 질문이 나오는 시퀀스를 본 적이 있을 것이다. 딸에게 물었더니 “나쁜 소식부터 듣겠다”고 했다. “왜냐”고 물었더니, “나쁜 소식을 먼저 들어서 기준을 낮춰 두면 나중에 듣는 좋은 소식이 더 좋게 들린다”고 했다. 이유가 그럴 듯하게 들리기는 해도 모두가 이 같은 생각에 동의하지는 않을 것이다.  하지만 좋은 일과 나쁜 일이 일어나는 순서에 따라 한 나라의 운명이 바뀌기도 한다. 구약성경에 나오는 파라오의 꿈과 요셉에 관한 얘기를 살펴보자. 이집트 왕 파라오는 살찐 암소 7마리와 마르고 흉한 암소 7마리가 나오는 꿈을 꾼다. 파라오가 요셉에게 이 꿈에 대해 물었다. 그러자 요셉은 살찐 암소 7마리는 7년 동안 이어지는 대풍년을, 마르고 흉한 암소 7마리는 7년 동안 이어지는 흉년을 뜻한다고 말했다.  이는 농업 작황이 불안정했던 당시 이집트 상황과도 관련이 있다. 성경 전문가에 따르면, 파라오는 7년의 풍년과 7년의 흉년 중 어

    2021.11.03 12:57:24

    노후자금 투자, ‘수익률’만큼 ‘순서’도 중요
  • '4년 만에 20배 증가' 서학개미 사로잡은 미래에셋증권

    [비즈니스 포커스] 미래에셋증권의 해외 주식 자산과 연금 자산이 업계 최초로 나란히 20조원을 돌파했다. 양질의 투자 콘텐츠와 체계적 시스템 등을 바탕으로 ‘서학개미’는 물론 미리 노후를 준비해 ‘여왕개미’가 되고자 하는 이들을 모두 사로잡았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해외 주식 누적 투자 손익 5조원 미래에셋증권은 4월 2일 연금 자산이 20조원을 돌파한 데 이어 이어 4월 29일 해외 주식 자산도...

    2021.05.19 06:52:01

    '4년 만에 20배 증가' 서학개미 사로잡은 미래에셋증권
  • ESG 수익률 파죽지세…펀드에서 직접 투자까지, 유망 투자처는

    증시 전문가들이 ESG(환경, 사회, 지배구조)에 주목하는 이유는 ESG가 새로운 투자 트렌드를 넘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를 계기로 국내외 기업들의 경영 패러다임 대전환을 가속화하는 동인으로 급부상했기 때문이다. 글로벌 시장의 ‘뉴노멀’로 자리 잡은 ESG 경영은 미래 성장 동력으로 꼽히는 4차 산업혁명 관련 기업들이 주축이 되고 있어 유망 투자처로도 각광받고 있다. 이를테면 구글(Google)의 ...

    2021.02.21 08:10:01

    ESG 수익률 파죽지세…펀드에서 직접 투자까지, 유망 투자처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