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너도나도 ‘알리’ 쓴다더니”...중국, 韓 해외직구 시장 ‘장악’

    한국의 해외직구 시장에서 알리익스프레스를 앞세운 중국 업체들의 돌풍이 거센 것으로 나타났다. 5일 관세청에 따르면 올해 1~3분기 해외직구액은 4조7928억2600만원으로 전년(3조9800억2400만원) 대비 20.4% 증가했다. 국가별로 보면 중국이 1위였다. 해외직구액은 2조2217억원(46.4%)으로 잔체 규모의 절반 가령을 차지했다. 미국이 1조3928억7900만원(29.1%)으로 뒤를 이었다. 이어 유럽연합(EU)과 영국 6504억7300만원(13.6%), 일본 3449억7400만원(7.2%), 아세안(ASEAN) 555억8000만원(1.2%), 캐나다 406억9300만원(0.8%) 등의 순이었다. 올해 1~3분기 중국발 직구 액은 전년 동기 대비 무려 106% 늘었다. 같은 기간 미국은 9.7% 줄었다. 이런 성장 추세가 이어진다면 올해 중국이 사상 처음으로 미국을 밀어내고 우리나라 직구 시장 1위에 올라설 전망이다. 이런 중국의 급성장은 알리익스프레스와 같은 이커머스 업체의 고속 성장 때문이다. 앱·리테일 분석 서비스 업체인 와이즈앱·리테일·굿즈 등에 따르면 올해 9월 기준 알리익스프레스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국내 사용자 수는 2020년 9월(152만명) 대비 3.6배 급증한 545만명에 달한다. 쿠팡(2862만명), 11번가(846만명), G마켓(636만명)에 이은 4위다. 중국의 또 다른 이커머스 업체 ‘테무(Temu)’도 한국 시장에 상륙해 빠른 속도로 입지를 넓혀가고 있다. 테무 앱 이용자 수도 지난 8월 52만명에서 9월에는 170만명으로 한 달 새 3배로 늘었다. 김정우 기자 enyou@hankyung.com

    2023.11.06 08:58:08

    “너도나도 ‘알리’ 쓴다더니”...중국, 韓 해외직구 시장 ‘장악’
  • 한국서 12만원에 팔린 블랙야크 패딩, 알리는 2만원?···레이 장 대표 국감 소환

    중국산 '짝퉁' 상품 판매 논란이 일고 있는 알리익스프레스의 한국법인 대표가 국정감사에 소환됐다. 16일 국회서 열린 정무위원회 국정감사에서 한기정 공정거래위원장은 알리익스프레스에 대해 공정거래법 위반 여부와 함께 임시중지명령 발동도 검토하겠다고 언급했다. 이날 정무위원회 공정위 대상 국정감사에 출석한 레이 장 알리익스프레스코리아 대표에게 강민국 의원(국민의힘)은 "블랙야크 공식 홈페이지에서 한 패딩 제품을 12만9000원에 팔고 있는데 알리익스프레스에서 똑같은 제품을 2만6000원에 판매하고 있다"며 "다 중국에서 만드는 짝퉁 제품"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심지어 알리익스프레스에서 우리나라 국회의원 배지도 1만5000원에 판매하고 경찰 배지도 팔고 있다"며 "혀를 내두를 지경"이라고 비판했다. 레이 장 대표는 "한국 전체 거래량 대비 가품으로 인한 이의제기건은 0.015%"이라며 "셀러 심사, AI 기반 가품 식별, 지적재산 위반 판매자에 대한 처벌 등 시스템을 갖추고 있다"고 답했다. 백혜련 정무위원장은 "가품 비율이 0.01%라는 것을 납득하기가 어려운 상황"이라며 "행정 당국의 조사를 떠나서 다시 한번 시스템을 점검해보길 바란다"고 말했다. 이에 레이 장 대표는 "관련 사안에 대해 내부적으로 확인 후에 즉각 조치하겠다"며 "한국 소비자가 겪는 어려움에 대해 이해하고 있고 더 많은 자원을 투입해 지적재산권을 보호하겠다"고 설명했다. 강홍민 기자 khm@hankyung.com

    2023.10.17 08:32:05

    한국서 12만원에 팔린 블랙야크 패딩, 알리는 2만원?···레이 장 대표 국감 소환
  • ‘쿠팡·네이버’ 가고 ‘알리·올웨이즈’ 온다

    쿠팡과 네이버가 양분하고 있는 이커머스 시장에 균열이 나타날 조짐을 보이고 있다. 신흥 강자의 등장 때문이다. 중국 알리바바의 해외 직구 플랫폼 ‘알리익스프레스’와 커머스 스타트업 레브잇이 선보인 ‘올웨이즈’가 급성장하며 판도 변화를 예고하고 있다. 후발 주자이지만 이들은 새로움을 앞세워 강자로 부상했다. 기존 플랫폼보다 경쟁력 있는 가격 정책, 새로운 구매 방식(팀 구매), 빠른 배송 또는 무료 배송 등이 강점이다. 업계에서는 알리익스프레스와 올웨이즈가 어디까지 성장할지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급증하는 실사용자애플리케이션(앱)·리테일 분석 서비스 와이즈앱·리테일·굿즈는 ‘결제 데이터로 보는 2023년 하반기 유통 전망’ 보고서에서 “성숙기에 접어든 온라인 종합 몰 시장에서 알리익스프레스와 올웨이즈가 새롭게 떠오르고 있다”며 “소액으로 자주 결제하는 패턴을 보이며 공격적인 성장세를 이어 가고 있다”고 분석했다. 알리익스프레스는 중국 온라인 직구 규모까지 늘리는 힘을 보여주고 있다. 통계청이 발표한 온라인 쇼핑 동향에 따르면 올 1분기 중국 온라인 직구 규모는 6550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99.4% 증가했다. 역대 최대치다. 업계에서는 알리익스프레스와 타오바오 등 알리바바그룹이 한국에 들어오면서 직구 규모까지 늘리고 있다고 보고 있다. 관세청에 따르면 알리익스프레스의 점유율은 26% 이상으로 직구 시장 1위다. 알리익스프레스는 2018년 11월 한국에 들어온 중국의 해외 직구 플랫폼이다. 알리익스프레스는 한국에 들어오기 전부터 중국 사이트에서 한국어를 지원하고 배송 대행지(배대지) 없이도 한국으로 직접 배송하는 등 한국 고객들

    2023.08.23 06:00:43

    ‘쿠팡·네이버’ 가고 ‘알리·올웨이즈’ 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