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30주년 - since 1995~2025 한경BUSINESS

주요뉴스

“노량진에 다시 몰릴까” 공무원 초임 인상에 임대주택까지

정부가 오는 2027년까지 초임 9급 공무원 월급을 300만 원까지 단계적으로 인상한다. 23일 인사혁신처는 ‘2025년 주요 업무 추진 계획’을 발표했다. 인사처는 먼저 현재 269만원인 9급 초임 공무원의 월 보수(수당 포함)를 2027년까지 300만원으로 단계적으로 올리기로 했다. 무주택 공무원 주거 부담 완화를 위해 서울과 세종 등 수요 대비 공급이 부족한 지역을 중심으로 임대주택 공급을 대폭 확대한다. 2030년까지 5800세대가 넘는 임대주택 공급을 추진하고 저연차와 신혼부부 공무원을 최우선 배정한다. 또 경찰·소방 공무원 위험근무수당을 인상하고 재난담당 공무원은 재난안전수당과 중요직무급을 같이 받을 수 있도록 해 업무에 따른 정당한 보상이 이뤄질 수 있게 한다. 민원 업무 기피 해소를 위해 민원업무 수당 가산금도 신설한다. 동시에 시간외근무 상한을 월 57시간에서 월 100시간으로 확대해 국정감사나 명절 특별근무 등 격무에 따른 보상도 강화한다. 순직 공무원에게는 추서된 계급에 따른 재해유족급여를 지급하고, 경찰·소방에 준하는 위험한 업무수행으로 순직한 일반직 공무원도 순직군경으로 인정해 유족 지원을 강화한다. 주 40시간 범위에서 운영 중인 유연근무는 2주 80시간 범위로 확대해 유연하고 자율적인 근무방식을 확대한다. 나아가 우수한 역량을 갖춘 6급 실무직공무원을 신속하게 5급 중간관리자로 임용하기 위한 ‘5급 선발승진제’를 신설한다. 육아휴직 대상 자녀 연령을 ‘8세 또는 초2 이하’에서 ‘12세 또는 초6 이하’로 확대하고, 육아휴직수당은 기존 연 1800만원에서 2310만 원으로 인상한다. 정유진 기자 jinjin@hankyung.com

“결국 1% 대로” 전국 상경계 교수들의 경고 들어보니

국내 상경계 교수들이 올해 한국의 잠재성장률주을 평균 ‘1.8%’로 추정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최근 한국은행 추정치인 2.0%(2024년 12월 발표)를 밑도는 수치다. 23일 한국경제인협회(이하 한경협)가 시장조사 전문기관 모노리서치에 의뢰해 전국 상경계열 교수들을 대상으로 ‘한국경제 중장기 전망 및 주요 리스크’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에 따르면 응답자 111명의 57.6%가 2025년 한국의 잠재성장률이 1%대(1.8%)에 진입한 것으로 추정했다. 잠재성장률은 노동·자본 등 한 나라가 가진 생산요소를 모두 투입해 인플레이션을 유발하지 않고 달성할 수 있는 최대의 경제성장률 수준을 말한다. 잠재성장률 ‘2.0% 미만’ 응답(57.6%)은 세부적으로는 1.7~1.9%(31.5%), 1.4~1.6%(12.6%), 1.1~1.3%(13.5%)로 나타났다. ‘2.0% 이상’ 응답은 총 42.4%며 2.0~2.2%(32.5%), 2.3~2.5%(9.0%), 2.6~2.8%(0.9%) 순이었다. 한국경제의 중장기 위협요인으로는 ‘저출산·고령화로 인한 인구절벽’(41.8%)이 가장 많이 지목됐다. 다음으로 ‘신성장동력(포스트 반도체 산업) 부재’(34.5%), ‘노동시장의 경직성과 낮은 노동생산성’(10.8%)을 꼽았다. 인구절벽의 경제적 영향과 관련해서는 ‘경제활동인구 감소’(37.9%)를 통해 우리 경제에 가장 큰 타격을 줄 것으로 전망했다. ‘연금 고갈 및 복지비용 증가’(19.8%), ‘내수 침체’(15.3%), ‘지방 소멸’(15.3%), ‘국가 재정부담 증가’(11.7%)가 그 뒤를 이었다. 한국경제의 재도약을 위해 기업이 가장 우선적으로 해야 할 조치로는 10명 중 4명이 ‘생산성 향상 노력’(40.6%)을 꼽았다. 이어 ‘연구개발 확대’(18.0%), ‘전통산업에서 신산업으로의 사업재편’(17.1%), ‘해외시장 개척 및 공급망 다변화’(14.4%) 순으로 응답했다. 경제 재도약을 위해 가장 필요한 정부 정책으로는 ‘기업 설비투자 지원 및 연구개발 촉진’(34.3%), ‘기업활력 제고를 위한 규제 개선’(22.8%), ‘신산업 진출 관련 이해 갈등 해소’(13.8%), ‘노동시장 유연화’(12.6%) 등을 지목했다. 정유진 기자 jinjin@hankyung.com

현대차 작년 매출 175조...‘사상 최대’

현대자동차가 지난해 사상 최대 매출을 기록했다. 현대차는 연간 매출액이 175조2312억원으로 집계됐다고 23일 밝혔다. 이는 전년 대비 7.7% 증가한 수치다. 연간 기준 역대 최대치다. 연결 기준 작년 한 해 영업이익은 14조2396억원으로 전년보다 5.9% 감소했다. 순이익은 13조2299억원으로 같은 기간 7.8% 늘었다. 4분기 영업이익은 2조8222억원으로 전년 동기보다 17.2% 줄었다. 같은 분기 매출과 순이익은 각각 46조6237억원과 2조4742억원을 기록했다. 김정우 기자 enyou@hankyung.com

제1521호 - 2025.1.20

제1520호 - 2025.1.13

제1519호 - 2025.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