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기차 승부수’ 완성차 업체의 4가지 필승 전략
[테크 트렌드]리텐션(retention)이라는 용어가 있다. 제품이나 서비스를 한 번 사용했던 사람이 몇 번이나 더 재사용하는가에 대한 지표다. 제품이나 서비스가 성공하려면 리텐션 지수가 높아야 한다. 리텐션 지수가 높다는 말은 반복해 쓰는 고정 팬이 있다는 뜻이다.전기차 시대가 코앞에 다가왔다. 전기차의 숙제 또한 ‘리텐션 지수’다. 전기차 시장에서 리텐션 지수를 높이려면 어떻게 승부해야 할까.1. 브랜드 매력 승부수“좋은 회사는 고객을 만족시키려고 하지만 위대한 회사는 고객과 감성적으로 연결되고자 한다.” 미국 월간 경제 매거진 INC에서 한 말이다. 전기차도 리텐션 지수 제고를 위해 감성 마케팅 전략을 쓰고 있다.포르쉐는 최초 순수 전기차 타이칸을 2020년 출시했다. 고성능 가솔린 스포츠카의 대명사인 포르쉐가 전기차 시장을 공략한 방식을 보자. 포르쉐는 ‘영혼, 전기화하다(Soul, electrified)’라는 메시지를 대문에 내걸었다. 젊음과 열정 같은 포르쉐 고유의 스포츠카 정신이 전기차에도 그대로 이어진다는 의미가 묻어난다.아우디는 전동화 트렌드에 맞춰 2026년부터 순수 전기차만 출시한다고 6월 22일 밝혔다. 아우디는 ‘전기는 아우디로 갔다(Electric has gone Audi)’라는 슬로건을 내세웠다. ‘전기차가 아우디했다’라는 말이다. 자신감 넘치는 표현이다. ‘검색하다’라는 말을 대표적인 포털 사이트 이름을 써 ‘구글링하다’라고 쓰듯이 ‘가솔린 차의 날것의 느낌, 꽈트로 4륜 기술이 있다’를 아예 ‘아우디하다’라고 써버린 것이다. 전기차만의 대단한 기술, 충전 도메인이 초점이 아니다. 아우디만의 개성과 아우라를 어
2021.10.26 06:00:25
-
BMW 그룹 코리아와 손잡을 스타트업 찾는다
[한경잡앤조이=강홍민 기자] 경기창조경제혁신센터(이하 경기혁신센터)는 BMW 그룹 코리아와 사업화 협력을 위한 오픈이노베이션 프로그램 ‘BMW 테스트베드 프로젝트(BMW Testbed with Korean Innovations)’ 참여 스타트업을 모집한다고 30일 발표했다.BMW 테스트베드 프로젝트는 혁신 스타트업과 BMW 그룹 코리아가 함께 새로운 기술 및 솔루션 도입 방안을 모색하면서 사업화까지 연계, 양 사 시너지를 창출하는 오픈 이노베이션 프로그램이다.프로그램에 참여해 BMW 그룹 코리아 사업 부서의 협업 대상으로 최종 선정되면 1000만원의 사업화 자금이 지원된다. 뿐만 아니라 △경기혁신센터의 직·간접 투자 검토 및 공간 지원 △한국무역협회의 스타트업 바우처 가산점 부여 및 다른 해외 대기업과 우선 매칭 혜택 △초기 테크 스타트업 전문 투자사 퓨처플레이의 초기 투자 검토 등 후속 지원도 받을 수 있다.모집 분야는 △사내 업무 프로세스 관리 솔루션 △BMW 그룹 코리아 내부 세일즈·마케팅 데이터 활용 빅데이터 분석 솔루션 △자동차 데이터 분석을 통한 시승 차량 관리·모니터링 솔루션 △BMW 그룹 코리아에 적용할 수 있는 브랜드 및 마케팅 솔루션 △myBMW 애플리케이션 시뮬레이션 테스트 프로그램 △기타 협업 자유 제안 등이다.프로그램 참가 접수는 경기혁신센터 오픈브리지 홈페이지에서 진행되며, 모집 기간은 9월 12일까지다. BMW 그룹 코리아 사업부서의 검토를 거쳐 매칭 미팅 대상 기업을 선발, 올해 안에 사업화 자금 지원 등 후속 절차를 진행할 예정이다.경기혁신센터 오픈 이노베이션 담당자는 “이번 프로그램을 통해 국내 유망 스타트업과 BMW 그룹 코리아와의 의미 있는 협업
2021.08.30 15:00:38
-
[Car] 가족을 위한 달리기 머신
스포츠카를 꿈꾸지만, 가족 생각에 욕망을 억눌러온 남성을 위한 SUV.PORSCHE Cayenne Coupé전장 4930mm 전폭 1985mm 전고 1675mm 공차 중량 2095kg 엔진 형식 3L V6 터보차저 배기량 2995cc 최대출력 340마력 최대토크 45.9kg·m 복합 연비 7.8km/L 가격 1억1630만 원 BMW X3 M40i 전장 4715mm 전폭 1890mm 전고 1675mm 공차 중량 1925kg 엔진 형식 직렬 6기통 BMW 트윈파워 터보 가솔린 배기량 2998cc 최대출력 387마력 최대토크 51kg·m 복합 연비 8.7km/L 가격 8910만 원PORSCHE Cayenne Coupé포르쉐답다. 스포츠카의 DNA를 물려받았다. 6기통 3L 가솔린 터보차저엔진과 8단 딥트로닉 S 변속기가 맞물려 최대출력 340마력, 최대토크 45.9㎏·m의 성능을 발휘한다. 2톤이 넘는 거구지만, 정지 상태에서 100km/h에 도달하는 데 걸리는 시간은 6초에 불과하다. 스포츠카의 DNA는 생김새에서도 고스란히 느껴진다. 특히 SUV와 쿠페를 결합한 ‘쌔끈한’ 디자인은 시선을 압도하기에 충분하다. 후면부에는 스포츠카처럼 팝업 스타일의 리어 스포일러도 장착했다. 평소엔 숨어 있다 90km/h 이상으로 달리면 자동으로 솟아오르며 에어로다이내믹의 매력을 극대화한다. 더욱 마음에 드는 점은 실내 공간이 꽤 넉넉하다는 것. 쿠페 디자인으로 루프 라인을 희생했지만 뒷좌석 위치를 30mm 낮춰 안정적인 헤드룸을 확보했다. 이런 차라면 아이 둘을 태우거나 뒷좌석에 장모님을 모시기에도 어색하지 않을 듯하다.BMW X3 M40i과유불급이라 했다. ‘X3 M40i’는 여러모로 과하지 않은, ‘적당한’ 매력의 소유자다. 우선 크기가 적당하다. 준중형 SUV지만 뒷좌석이 꽤 넓어 패밀리 카로 손색없다. 2열 시트는 분할 접이식으로 등받이 각도 조절이 가능
2021.06.09 12:46:36
-
[Automobile] Golf Bag in my Trunk
차 바꾸고 싶은데 트렁크에 캐디백이 몇 개나 들어가지? 이런 고민, 익숙하다. 당신의 수고를 덜기 위해 자동차 넉 대의 트렁크에 직접 실어봤다. 꼭 트렁크 때문에 살 차들은 아니기에 결과가 더 궁금했다.Audi Q8캐디백 x 2, 보스턴백 x 2 최대치 캐디백 x 3, 보스턴백 x 3아우디의 새로운 기함급 SUV다. 아우디 Q7을 기반으로 스타일을 살렸다. 점잖은 SUV에 세련된 감각을 입혔달까. 쿠페형 세단과 비슷한 전략이다. 그렇다고 지붕 뒤만 깎지 않았다. 높이를 낮추고 폭을 넓혔다. 덕분에 낮고 넓은, 기존 대형 SUV와는 풍기는 인상이 다르다. SUV보다는 위압적인 장갑차를 모는 듯한 박진감이 차오른달까. 패밀리 SUV보다 취향 드러내는 특별한 모델로 세운 셈이다. 그래서인지 트렁크 공간이 생각보다 작다. 깊이는 괜찮은데 폭이 좁다. 사선으로 캐디백 두 개, 남는 공간에 보스턴 백 두 개 넣으면 꽉 찬다. 기본 두 명이 함께 라운드하러 갈 수 있다. 물론 2열을 접으면 네 개도 거뜬하다. 하지만 승객 자리를 확보해야 한다. 2열은 한쪽만 접고 세 명분 장비를 싣고 세 명이 함께 가는 게 최대치다.(왼쪽부터 시계 방향으로) 파란색 테일러메이드 로고가 선명한 오스텍 카트백 55만 원, 주황색 시티텍 카트백 43만 원, 흰색 바퀴 달린 카트백 63만 원, 트루 라이트 카트백 31만 원, 검은색 보스턴백 가격미정, 바퀴 달린 보스턴백 32만 원, 검은색 카무플라주 보스턴백 12만 원흰색 오스텍 보스턴백 20만 원 모두 테일러메이드.Porsche Taycan캐디백 x 0, 보스턴백 x 2 최대치 캐디백 x 2, 보스턴백 x 2포르쉐의 순수 전기차다. 타이칸은 ‘활기 넘치는 젊은 말’이란 뜻. 전기모터 품은 포르쉐의신모델로서 제법 적절한 이
2021.05.13 17:12:30
-
[CAR] 다르기에 더 특별한 선택
[한경 머니=글 김종훈 자동차 칼럼니스트 | 사진 각 사 제공] 조금 다르기에 더 특별할 수 있다. 각 브랜드 대표 모델은 아니지만, 그 사이에서 새 기운을 불어넣은 모델이 있다. 세단과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이라는 보편타당한 선택 말고 다른 감각을 선사하는 자동차들. 의외로 이런 모델이 브랜드 정체성을 더욱 높이기도 한다.자동차 브랜드마다 골격이 되는 라인업이 있다. 흔히 나누는 C, D, E로 이어지는 세그먼트별 대표 모델들. 특히 각 세그먼트별 세단과 SUV는 브랜드를 먹여 살린다. 팔리는 대수도, 관심도도 높다. 브랜드 신뢰도도 쌓는다. 좋긴 한데 보편타당해 좀 심심하다. 오랫동안 군림해 익숙한 까닭이다. 브랜드는 끊임없이 자극해야 한다.이럴 때 기존 라인업 말고 다른 모델이 필요하다. 틈새 모델이라고 할 수도 있다. 기존 바탕에서 변화를 꾀한다. 색다르기에 그만큼 분위기도 환기시킨다. 이런 틈새 모델은 브랜드에 새로운 기운을 불어넣는다. 때로 이런 시도가 브랜드 정체성을 더 강화하기도 한다. 그러니까 변화를 통해 브랜드를 다시 주목하게 하는 모델. 새로운 걸 섞어 더 깊은 맛을 내는 ‘브랜딩 모델’이랄까. 매번 보편타당한 선택만 해온 사람에게 색다른 감각을 선사한다.BMW는 운전하는 재미가 남다르다. 이런 BMW가 최근 4시리즈 신형을 출시했다. 기존 4시리즈는 3시리즈에서 문 2개를 덜어내고 비율을 매만졌다. 3시리즈에 종속된 모델로 여길 수밖에 없었다. 기본 라인업 사이에 존재하는 모델의 태생적 한계다. 신형 4시리즈는 기존에서 벗어나 독자 모델다운 지위를 획득했다. 디자인을 차별화해 시각적으로 분류하고, 쿠페답게 운전 재미를 강화하는 기술로
2021.03.05 11:49:52